부산항발전협의회와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은 27일 성명을 내고 “제1 국적선사인 현대상선이 지난해 부산항 신항 제4부두 운영사 지분을 싱가포르 PSA에 넘기면서 맺은 불리한 계약조건 때문에 성장에 발목이 잡혔다”라며 “현대상선은 부산항 물량을 늘리고 싶지만 PSA 측이 현행 요율을 고집하면 보장 물량 외 화물을 외국 항만 터미널에서 처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지역 시민단체들은 현대상선이 외국 항만 터미널에서 화물을 처리할 경우 부산항만공사의 올해 부산항 화물 처리 목표인 2000만TEU 달성에 차질을 빚게 된다고 지적했다.
현대상선은 올해 부산항에서 20피트 기준 150만개 이상 컨테이너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하나 다른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쟁 외국 선사에 비해 연간 300억원이 넘는 하역료를 더 부담해야 한다며 PSA에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PSA가 하역료 인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최소보장 물량 70만개를 제외한 나머지 물량을 전용 터미널이 있는 대만이나 중국 항만으로 옮겨 처리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시민단체들은 “현대상선은 부산에서 수송하는 수출입화물과 환적화물을 모두 신항의 PSA HPNT(4부두) 터미널에서만 하역해야 한다”라며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과정에서 부산신항의 하역료가 전반적으로 하락했지만 현대상선은 이런 계약조건이 족쇄가 돼 훨씬 비싼 하역료를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대 국적선사가 조속히 제자리를 잡고 성장해야 부산항도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한다”라며 “해양수산부, 부산시, 부산항만공사는 특단의 대책강구가 시급하다. PSA도 부산항을 모항으로하고 현대상선의 현행 요율인하를 즉각 수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임주희 기자
lj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