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 서울 27℃

  • 인천 26℃

  • 백령 18℃

  • 춘천 26℃

  • 강릉 18℃

  • 청주 21℃

  • 수원 27℃

  • 안동 27℃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1℃

  • 전주 22℃

  • 광주 23℃

  • 목포 19℃

  • 여수 18℃

  • 대구 17℃

  • 울산 16℃

  • 창원 20℃

  • 부산 17℃

  • 제주 19℃

10대재벌, 올해도 ‘몰아치기’ 주총··· “소액주주 참여 제한” 비판

10대재벌, 올해도 ‘몰아치기’ 주총··· “소액주주 참여 제한” 비판

등록 2014.02.25 08:58

김민수

  기자

공유

올해도 10대 재벌 계열사 대부분이 한날한시에 정기 주주총회를 실시한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정기 주주총회일을 공시한 10대그룹 소속의 12월 결산 상장사 35개 중 31개사가 오는 3월14일 오전에 주총을 연다.

특히 그룹서열 1위 삼성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계열사 12곳이 모두 이날 오전 9시에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때문에 두 곳 이상의 삼성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주총에 참여하려면 단 한 곳만 선택해야 한다.

현대차와 LG, GS 등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등 7개사가 3월14일 오전 9시에 주주총회를 열기로 했다. 현대하이스코만 21일로 따로 잡혔다.

LG그룹도 14일 LG상사,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 7개사가 오전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GS그룹 역시 21일에 GS, GS건설, GS글로벌, 코스모화학의 주총이 몰려있다.

아직 계열사 정기 주총일을 공시하지 않은 기업들도 예년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 거의 한날 주총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재별 그룹들의 이런 ‘몰아치기’ 주총 관행은 결국 소액주주들의 참여를 제한하려는 행동이라는 지적이다.

예컨대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1998년 주주총회에서 경제개혁연대가 부당내부거래 등을 문제 삼으며 13시간이 넘는 마라톤 주총이 빚어졌고 1999년과 2001년에도 시민단체와 직원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투표제 등의 대안이 마련됐지만 실제로 이를 이용하는 기업은 전무한 상황이다.

예탈결제원 관계자는 “올해는 전자투표 이용업체가 한 곳도 없다”며 “좋은 제도임에도 전자투표의 필요성에 대해 기업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있고 그럴 의지도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경제정의실철시민연합 경제정책팀 이기웅 부장도 “전자투표를 활성화해 소액주주권을 보호하자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현행법상 권유사항일 뿐 의무가 아닌 탓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일자가 겹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면 인터넷으로도 권리 행사가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소액주주 보호 차원에서 최소한 상장사라도 전자투입 도입을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 역시 불만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액주주뿐 아니라 펀드매니저 등 기관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안건에 대해 의결권 행사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며 “몰아치기 주총은 그럴 여력도 빼앗아 정당한 주권 행사를 원천봉쇄하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김민수 기자 hms@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