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일가 지분 많고 내부거래 비율도 높아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코오롱그룹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은 지난 2005년 마우나오션개발을 합병해 이 회사 지분을 100% 보유했고 2007년 6월부터 코오롱글로텍은 마우나오션개발의 지분 가운데 25.57%와 21.78%를 각각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과 이웅열 코오롱 회장에게 넘겼다.
당시 1주당 처분 단가는 5280원으로 이동찬 명예회장과 이웅열 회장은 마우나오션개발 전체 지분의 47.35%인 142만455주를 약 75억원에 취득했다.
이후 코오롱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면서 공정거래법 규정에 의해 지난 2012년 1월 코오롱글로텍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 중 대부분을 지주회사인 ㈜코오롱에 넘겼다.
당시 코오롱글로텍은 남은 지분 52.65% 가운데 50%인 150만주를 ㈜코오롱에 1주당 8713억원에 처분했다. 총 처분가격은 130억7000만원. 이는 앞서 5년전 이동찬·이웅열 회장에게 적용한 단가보다 1.7배 높은 가격이다. 코오롱 일가에게 부당이익을 안겨준게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대목이다.
코오롱측은 2007년 이후 5년 동안 마우나오션개발 회사의 가치가 올랐기 때문에 처분 단가가 올라갔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연합뉴스는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코오롱이 비상장사인 마우나오션개발의 주식 처분단가를 적정 수준보다 비싼 값에 취득함으로써 오너 부자와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에 부당한 이득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또 연합뉴스 의뢰로 하이투자증권이 마우나오션개발의 주당순자산가치(BPS)를 산출한 결과, BPS는 2006년 4253원에서 2011년 4244원으로 오히려 소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마우나오션개발의 순자산가치는 거의 변화가 없음에도 매각 단가가 훨씬 높아 평가가치상에 문제가 있는 거래였다는 설명이다.
연합뉴스는 또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높은 마우나오션개발이 내부거래로 인한 과도한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공시에 따르면 마우나오션개발의 계열사 매출 비중은 지난 2008∼2011년까지 30%대를 유지하다가 2012년에는 43%까지 높아졌고 계약 형태도 경쟁이나 입찰 과정을 거치지 않은 수의 계약이었다는 설명이다.
최원영 기자 lucas201@

뉴스웨이 최원영 기자
lucas20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