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2일 수요일

  • 서울 2℃

  • 인천 1℃

  • 백령 3℃

  • 춘천 -3℃

  • 강릉 2℃

  • 청주 -2℃

  • 수원 -1℃

  • 안동 -5℃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2℃

  • 전주 -1℃

  • 광주 -3℃

  • 목포 1℃

  • 여수 2℃

  • 대구 -2℃

  • 울산 3℃

  • 창원 1℃

  • 부산 2℃

  • 제주 4℃

IT 한국 AI 경쟁력 말레이·대만급 2군 수준 불과

IT IT일반

한국 AI 경쟁력 말레이·대만급 2군 수준 불과

등록 2024.12.11 10:52

수정 2024.12.11 13:59

임재덕

  기자

공유

보스턴컨설팅그룹, 세계 73개국 종합 평가 발표 캐나다·중국·싱가포르·영국·미국 등 5개국 세계 최정상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경쟁력이 싱가포르에도 밀린 '2군 수준'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보스턴컨설팅그룹(BCG)는 최근 세계 73개국을 대상으로 AI 기술 성숙도와 잠재력을 종합 평가한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캐나다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AI 선구자'(AI pioneers)로 꼽았다. BCG는 "이 5개국만이 AI에 대한 높은 수준의 준비 상태를 보였다"면서 "기술, 연구개발, 생태계, 투자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이 제시한 AI 성숙도 매트릭스. 사진=보스턴컨설팅그룹 홈페이지보스턴컨설팅그룹이 제시한 AI 성숙도 매트릭스. 사진=보스턴컨설팅그룹 홈페이지

우리나라는 ▲호주 ▲벨기에 ▲핀란드 ▲홍콩 ▲일본 ▲말레이시아 ▲대만 등과 함께 '안정적 경쟁국가'(steady contenders)로 ▲브라질 ▲인도 ▲베트남 등은 '떠오르는 경쟁국가'(Rising contenders)로 분류됐다. BCG는 "틈새 AI 시장을 전문으로 하고 주요 부문에서 AI를 사용해 효율성이나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실험을 위한 유연한 규칙을 수립하고 새로운 AI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런 평가는 우리 젊은 세대의 평가와도 맞아 떨어진다. 뉴스웨이가 창간 12주년을 맞아 2040세대 205명에게 '우리의 AI 경쟁력이 어느 수준인지'를 물으니, 40.5%가 일본 등 아시아 수준이라고 답했다. 미국과 견줄 정도의 '최상위권'이라는 응답은 불과 12.7%에 불과했다.

다만 우리 정부의 인식과는 괴리가 있다. 정부는 AI 관련 정책을 발표하며 영국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한 '글로벌 AI 순위'를 주로 인용해왔다. 정부는 최근 정책 발표에서도 이 순위를 인용하며 "1위 미국, 2위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3위권 그룹(3위 싱가포르, 4위 영국, 5위 프랑스, 6위 한국, 7위 독일, 8위 캐나다)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