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 841만6000명 중 최종학교 졸업자는 452만1000명. 이 중 미취업 청년이 126만1000명으로, 약 27.9%를 차지한 것입니다.
미취업 청년들의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4년제 및 3년제 이하 대학 졸업자가 66만6000명, 대학원 졸업 이상자가 1만2000명으로, 대졸 이상자가 절반 이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무직 청년들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우선 미취업 청년의 40.9%는 취업을 위해 준비하고 있었는데요. 직업훈련을 받는 청년은 4.7%,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도서관 등에 다니는 청년은 36.2%였습니다.
특히,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도서관에 다녔다는 비율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61.2%로 높았는데요. 대학을 졸업하고도 추가로 더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현실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졸업 후 취업까지 걸리는 소요 기간은 평균 10.4개월. 첫 취업에 2년 이상 걸린 청년은 59만1000명, 3년 이상 걸린 청년도 32만4000명이었습니다.
반면 아예 구직준비를 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미취업 청년 중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낸다'고 응답한 비율은 25.4%로, 4명 중 1명꼴이었습니다.
한편 취업의 문도 더욱 좁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23일 잡코리아에서 발표한 '하반기 채용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 1곳 당 평균 채용 계획 인원은 12.7명으로, 상반기보다 6.6명 줄었습니다.
무직 쳥년은 늘고 취업의 문은 점점 좁아지는 현실. 더 큰 문제는 구직을 위한 활동조차 하지 않는 청년이 갈수록 많아진다는 건데요. 청년들의 취업 의욕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뉴스웨이 박희원 기자
parkheewonpar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