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올해 '5G 품질' 통신3사 모두 합격선···LTE는 KT만 퇴보

IT IT일반

올해 '5G 품질' 통신3사 모두 합격선···LTE는 KT만 퇴보

등록 2022.12.29 12:00

배태용

  기자

공유

옥외 5G 커버리지 평균 면적 3.3만㎢···전년比 74.4%↑5G 평균 다운로드 속도 11.8% 늘어···LTE는 KT만 줄어

올해 '5G 품질' 통신3사 모두 합격선···LTE는 KT만 퇴보 기사의 사진

올해 이동통신 3사(SKT·KT·LGU+)의 5G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LTE의 경우, KT만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29일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 무선인터넷(5G‧LTE‧3G‧WiFi) △ 유선인터넷(100Mbps급‧500Mbps급‧1Gbps급‧10Gbps급) △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등을 대상으로 커버리지 점검과 품질 평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부 평가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직접 측정하는 이용자 상시평가, 사업자 자율평가 방식으로 진행됐다.

올해 5G 서비스는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 및 주요 읍면 지역의 모든 중소시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표본을 선정해 5G 접속가능 여부를 점검했다.

주요 시설·교통인프라 등 옥외 5G 구축 현황은 지난 10월 기준 3사(SKT·KT·LGU+) 평균 3만3212.50㎢로, 지난해 동월(1만9044.04㎢) 대비 74.4% 확대됐다. 통신사별로는 △ SKT 3만4241.58㎢, △ KT 3만3185.10㎢, △ LGU+ 3만2210.82㎢ 으로 전국 85개 시 모든 행정동 및 주요 읍·면 옥외 지역 대부분에 5G 망이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의 5G 다운로드 전송속도 평균은 896.10Mbps 수준으로, 전년(801.48Mbps) 대비 11.8%(94.62Mbps)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로드 속도도 평균 93.16Mbp를 기록하며 전년(83.01Mbps) 대비 12%(10.15Mbps) 향상됐다. 통신사별로는 SKT 1002.27Mbps(전년 대비 72.35Mbps↑), KT 921.49Mbps(158.99Mbps↑), LGU+ 764.55Mbps(52.54Mbps↑)로 나타났다.

전체 41만655개 다운로드 전송속도 측정건 중 600Mbps~1Gbps 측정건이 41.18%로 가장 많았으며, 600Mbps 미만의 경우 200Mbps~600Mbps 21.33%, 200Mbps 미만 3.67%로 총 25.0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50Mbps 미만 측정건도 0.95% 나타났다.

5G 망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5G → LTE 전환율'은 3사 평균 1.34%로 전년(1.88%) 대비 0.54%p 개선되었다. 통신사별로는 SKT 0.98%, LGU+ 1.32%, KT 1.72%으로 집계됐다.

LTE 다운로드 속도는 KT만 줄었다. 3사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1.92Mbps 로 전년 대비 1.62Mbps 늘었다. 통신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SKT 208.96Mbps(전년 대비 0.72Mbps↑), KT 135.41Mbps(전년 대비 2.82Mbps↓), LGU+ 111.40Mbps(전년 대비 6.97Mbps↑)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5G 커버리지 및 품질이 향상되었지만, 5G 이용자의 체감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선 통신 3사의 적극적인 5G 망 투자 확대가 중요하다"라며 "여전히 많은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LTE 역시 지속적인 품질 관리를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배태용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