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관 주도로 사용후 핵연료 관련 사업 추진최대 12조원대 국내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 시장 형성
정부 기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운영 및 건설 중인 국내 경수로형 원전에서 발생되는 사용 후 핵연료 다발은 현재 임시보관 중인 것을 포함해 약 6만3000개로 추산된다. 사진=두산중공업 제공
부산 BEXCO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두산중공업 나기용 원자력 BG장, 한국전력기술 조직래 원자력본부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송기찬 핵연료주기 기술연구소장과 경성정기, S&W 등 관련업계 대표들이 참석했다.
현재 두산중공업은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Cask) 설계 및 제작기술을, 한전기술은 원전설계를 기반으로 한 사용후핵연료 관리단계별 설계기술을,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사용후 핵연료 관리 시스템 연구 및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3사는 사용후핵연료의 운반, 저장, 처분기술 개발 등의 관련 사업을 공조해 추진하고 기술/정보/인력교류 및 시설/장비 공동활용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두산중공업 나기용 BG장 등 3사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국내 기업과 기관 주도로 사용후 핵연료 시장을 선도해나갈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며 “성공적인 기술자립을 통해 사용후핵연료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지역 주민과 적극 소통하고 중소기업과 상생하면서 국제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기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운영 및 건설 중인 국내 경수로형 원전에서 발생되는 사용 후 핵연료 다발은 현재 임시보관 중인 것을 포함해 약 6만3000개로 추산된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용기(Cask)는 약 3000세트로 향후 최대 12조원대 저장용기 시장이 형성되고 국내 50여개 중소기업이 사업 참여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squashkh@naver.co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