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舊 오너 리스크 해결하니 인사 논란DGB···박인규 회장 잇단 범죄 의혹 속앓이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두 금융지주사인 부산·경남의 BNK금융지주와 대구·경북의 DGB금융지주가 회사 안팎의 잇단 악재에 발목이 잡혀 성장에 애를 먹고 있다. 사진은 부산 문현동 BNK금융지주 본사(왼쪽)와 대구 수성동 DGB금융지주 본사. 사진=뉴스웨이DB
BNK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는 최근 각각 경영진의 주가 시세 조종 의혹과 해운대 엘시티 특혜 대출 의혹, 인사 전횡 의혹, 금융감독원 채용비리 등에 휘말려 곤혹을 치르고 있다. 최고위 경영진과 연결된 일이어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BNK금융지주는 성세환 전 회장이 2015년 11월 BNK금융지주에 대한 유상증자를 공시한 뒤 주가가 폭락하자 BNK금융그룹 계열사 대표 회의에서 거래처를 동원해 주식 매수를 지시하는 등 주가 시세 조작을 주도한 혐의로 지난 5월 구속돼 징역 3년형을 구형받았다.
또 지난해 1월 BNK금융지주의 유상증자 발행가격 확정을 앞두고 부산 해운대 엘시티 시행사 임원 등에게 부산은행을 통해 약 300억원을 대출했고 대출을 받은 일부 인사가 대출금 중 30억원을 BNK금융지주 주식 매입에 썼다는 의혹도 함께 불거졌다.
BNK금융지주는 이같은 오너 리스크를 지우고 대대적 조직 혁신을 꾀하고자 외부 출신 인사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을 새로운 회장으로 선임했지만 이번에는 인사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손교덕 경남은행장의 사직서 제출 소동이나 김지완 회장 측근 인사의 경남은행 사외이사 선임 등 최근 BNK금융지주 안팎의 움직임 때문에 김 회장이 주주 가치 제고나 조직의 발전보다 자신의 영달을 위해 인사권을 마구 휘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DGB금융지주는 박인규 회장 겸 대구은행장이 금감원 하반기 민원처리 전문직 채용 과정에서 이병삼 전 금감원 부원장보에게 대구은행 출신 A씨가 합격할 수 있도록 청탁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전 부원장보는 박 회장의 청탁을 받은 후 A씨의 면접 접수를 조작해 부정하게 합격시켰고 최근 검찰 수사 과정에서 이 과정을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이외에도 상품권을 이용한 비자금 조성 혐의로도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그는 취임 직후인 2014년 3월부터 지난 7월까지 법인카드로 상품권을 대량 구매한 뒤 판매소에서 현금화하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고위 경영진이 저지른 비리와 전횡 의혹으로 인해 두 금융지주회사 자체의 브랜드 가치에 상당한 흠이 가해지면서 미래 성장과 혁신 모두 원하는 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금융권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BNK금융지주의 경우 지난해보다 실적이 좋지만 여전히 시름이 깊다. 부산과 경남지역 경제 하락세로 인해 중소기업 대출 비중 제고 전략이 힘을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연이은 악재로 인한 신뢰도 하락은 전반적인 대출 업무 전체의 발전에 차질을 줄 수 있다. 여기에 조직 안팎의 혼란으로 영업력 집중도가 높아지지 못할 경우 올해는 물론 내년까지도 안정적인 경영을 장담할 수 없다는 우려가 크다.
DGB금융지주는 비은행 분야의 역량 강화를 위한 숙원 사업이던 하이투자증권 인수 작업이 아예 물거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걱정 때문에 속이 탄다. 만약 박인규 회장의 각종 범죄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DGB금융지주의 하이투자증권 인수를 장담할 수 없다.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금융기관 임원이 위법·부당행위의 주범이거나 다수 임원이 위법·부당행위에 관련된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기관경고를 받을 수 있다. 기관경고를 받은 금융사는 1년간 타 금융회사의 대주주 자격이 될 수 없다.
박 회장이 추후 수사 결과 사법처리가 확정될 경우 금융당국의 기관경고는 불가피하다. DGB금융지주는 앞서 언급된 제재 규정에 따라 하이투자증권을 인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질 수 있다.
당초 DGB금융지주 측은 박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이 자회사인 대구은행에서 불거진 일인 만큼 당국의 제재가 커질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박 회장 본인이 채용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만큼 매우 당혹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영남을 연고로 하는 양대 지방금융지주의 성장이 정체될 경우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남권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지역 경제에 미치게 될 민감성 등을 고려한다면 조속한 시일 내에 혁신신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ndrew.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