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고령화·소가족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와 같이 밝혔다.
연구원이 연령대별·가구유형별 주택 규모 분포를 조사한 결과 2035년까지 극소형(30㎡ 이하), 소형(30∼50㎡) 수요는 소폭 감소하고, 중소형(50∼70㎡), 중형(70∼100㎡), 중대형(100∼130㎡)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다만 대형(130㎡ 이상)은 수요 증가가 미미했다.
조만 KDI 겸임연구위원은 “소가족화 추세에 맞춰 소형주택을 더 공급해야 한다는 것은 단순한 생각” 라며 “앞으로 정부 부동산 대책은 중형주택 공급 확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2000년대 말 전셋값이 급등한 원인 중 하나가 소형주택 공급이 1·2인 가구 증가에 못 미친 탓으로 판단하고 소형주택 공급을 늘렸다.
그 결과 2009년 1688가구에 불과했던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물량이 재작년 12만3949가구로 급증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전셋값은 안정되지 않았고 소형주택 공실률이 크게 높아졌다.
서승범 기자 seo6100@

뉴스웨이 서승범 기자
seo610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