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 서울 25℃

  • 인천 25℃

  • 백령 14℃

  • 춘천 26℃

  • 강릉 26℃

  • 청주 27℃

  • 수원 26℃

  • 안동 28℃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27℃

  • 전주 28℃

  • 광주 27℃

  • 목포 23℃

  • 여수 21℃

  • 대구 29℃

  • 울산 25℃

  • 창원 24℃

  • 부산 23℃

  • 제주 19℃

한류 검색결과

[총 50건 검색]

상세검색

 관광 소비 벗어난 K-뷰티, 글로벌 시험대는 지금부터

기자수첩

[기자수첩] 관광 소비 벗어난 K-뷰티, 글로벌 시험대는 지금부터

한국 화장품 산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달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넘어섰다. 단순한 반등이 아니라, 수출 지역의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의 고도화를 동반한 구조적 성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K-뷰티는 한때 중국 관광 소비에 의존하던 시기를 지나, 미국과 일본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브랜드 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변화의 출발점은 수출 구조의 전환이다. 2015년만 해도 한국 화

삼성전자, 미국에 프리미엄 K-콘텐츠 제공···한류 열풍 이어간다

전기·전자

삼성전자, 미국에 프리미엄 K-콘텐츠 제공···한류 열풍 이어간다

삼성전자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를 앞세워 글로벌 콘텐츠 시장 공략에 나선다. 4일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TV시장인 미국에서 CJ ENM, 뉴아이디, KT알파 등 국내 대표 콘텐츠미디어 기업과 손잡고 '삼성 TV 플러스'를 통해 약 4000시간 분량의 K-콘텐츠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삼성 TV 플러스'와 국내 독점 파트너십을 맺은 CJ ENM은 ▲슬기로운 산촌생활 ▲퀸덤퍼즐 ▲스트릿 우먼 파이터2 등 콘

차세대 산업으로서의 전통문화와 한지 산업

김상봉

[김상봉의 브레이크타임 경제뉴스]차세대 산업으로서의 전통문화와 한지 산업

요즘 세계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한국 음식이나 K-팝, K-뷰티 등 여러 가지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부분이 알려지고 있고, 수출까지도 연결되고 있다. 미국의 웬만한 마트 등에서는 한국의 김치, 김, 즉석용 밥, 라면 등이 팔리고 있어 급할 때는 한국에서 먹던 음식을 그대로 먹을 수도 있다. 한국의 음악은 이미 예전부터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랐고, 새로운 한국 음악이 발매될 때마다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의 학교에서는 한

5년째 오겜, 기생충, BTS...한류 명맥 끊겼나

비즈

[카드뉴스]5년째 오겜, 기생충, BTS...한류 명맥 끊겼나

어느새 세계 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한류. 지금도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즐기고 있을 텐데요. 실제 한류를 접해본 외국인들은 한국 문화콘텐츠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24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서 68.8%의 외국인이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호감을 갖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가 86.3%로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해 가장

SNS 속 'K-뷰티'의 민낯

기자수첩

[기자수첩]SNS 속 'K-뷰티'의 민낯

바야흐로 한류의 전성기다. 세계 각국에서 한류 열풍이 불어오는 상황 속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 특정 브랜드 제품만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것에 머물렀던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 패턴에도 최근 들어 변화가 일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 어두운 그림자도 드리워지고 있다.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국내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들 덕분에 얼마큼 마케팅을 잘하는지가 브랜드 성장을 판가름하는 주된 변수로

전 세계 사로잡은 한류···5년간 경제적 효과 37조원

재계

전 세계 사로잡은 한류···5년간 경제적 효과 37조원

지난 5년간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생산유발액 기준 총 37조원에 달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는 화장품, 음악, 방송 등 한류 밀접품목의 수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10일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청'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미국 U.S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 간 24단계 상승했

'한류의 힘' 라면 수출액 또 최대치 경신···전년비 20% 증가

'한류의 힘' 라면 수출액 또 최대치 경신···전년비 20% 증가

한류 확산 등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 기록을 또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식품업계와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6월 라면 수출액은 3억8340만달러(약 4976억원)로 기존 최대치였던 지난해 상반기(3억1969만달러)보다 19.9%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9191만달러), 미국(4786만달러), 일본(3032만달러), 대만(1483만달러), 필리핀(1477만달러), 태국(1460만달러), 말레이시아(1304만달러), 호주(1277만달러), 캐나다(1159만달러), 네덜란드(1130

한류는 '돈'이 얼마나 됐을까

[카드뉴스]한류는 '돈'이 얼마나 됐을까

BTS를 비롯해 '오징어 게임'까지, 지난해에도 한류는 곳곳으로 뻗어나갔습니다. 경제적 파급 효과도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5월 26일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발간한 '2021 한류 파급효과 연구'를 살펴봤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류 중 문화콘텐츠의 지난해 수출액은 70억 3,900만 달러(한화 8조 9,219억 원)로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 다소 의외의 결과인데요. 이는 게임, 방송의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방송의 경우 드라마 제작 및 보

외국인들에게 물었다···최애 ‘한드’를 꼽는다면?

[카드뉴스]외국인들에게 물었다···최애 ‘한드’를 꼽는다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신종 바이러스의 여파는 한류 콘텐츠에도 영향을 미쳤는데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해외 18개국 한국 문화 콘텐츠 경험자 8,500명에게 물어본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해외 소비자들의 지난해 문화 소비 중 한류 콘텐츠의 비중은 21.5%로 22.1%였던 2019년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관심도도 하락했는데요. 감염병 확산으로 인해 한류스타들의 해외 일정이 줄어든 영향으로 파악됩니다. 한류 콘텐츠의 소비 비중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