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일반
한은 총재 "금리 인하·동결 가능성 모두 열려···인상 의견은 없었다"(종합)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하면서 금통위원 3명이 동결, 3명이 인하 가능성을 주장해 의견이 반반으로 갈렸다. 이창용 총재는 인상 논의는 없었으며, 고환율이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환율 상승 원인으로는 개인의 해외주식 투자가 지목됐다.
[총 2,990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한은 총재 "금리 인하·동결 가능성 모두 열려···인상 의견은 없었다"(종합)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하면서 금통위원 3명이 동결, 3명이 인하 가능성을 주장해 의견이 반반으로 갈렸다. 이창용 총재는 인상 논의는 없었으며, 고환율이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환율 상승 원인으로는 개인의 해외주식 투자가 지목됐다.
금융일반
한은 기준금리 또 '동결'...'금리인하 기조' 후퇴 가능성↑(종합)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50%로 4차례 연속 동결했다. 소비와 수출 개선에도 환율 급등, 금융시장 불안, 가계대출 증가 등 위험요인이 있어 추가 인하 가능성은 약화됐다. 성장률 전망은 소폭 상향됐으나 금리인하 기조는 사실상 멈춘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금융일반
[환율시황]원·달러 환율 1468.5원에 출발···하루 만에 다시 반등
27일 원·달러 환율이 1468.5원에 반등 출발했다. 글로벌 달러 약세 영향에도 수입업체 결제·해외주식 투자 등 환전 수요가 하락폭을 제한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이 유력해 환율 상방 압력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금융일반
기업심리지수 다시 반등...반도체 호황·소비심리 회복 영향
1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가 반도체 호황과 소비심리 회복, 영업일수 증가에 힘입어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한 92.1을 기록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동반 상승했으나, 여전히 장기평균에는 미치지 못했다. 다음달 전망치는 동일하게 집계됐다.
카드
3분기 거주자 카드 해외 사용금액 59억 달러 돌파···사상 최고치
2025년 3분기 거주자의 해외 신용·체크카드 사용금액이 59억3000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외여행 수요와 계절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며,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모두 사용액이 증가했다. 한편 비거주자의 국내 카드 사용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금융일반
금융위 "한은 긴급명령 요청권 과도"···스테이블코인 감독권 확대에 난색
금융위원회가 국회에서 논의 중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감독체계 개편안에서 한국은행의 검사 및 명령 요청권 확대에 대해 과도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위는 기존 가상자산법 내에서 협의가 가능하며, 발행 규모가 작아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임을 강조했다. 해외 입법례가 없는 권한은 불필요하다고 봤으며, 협의기구 신설에도 반대했다.
금융일반
기준금리 또 '일시정지' 가닥 잡나···한은, 환율과 집값에 '외통수'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논의한다. 시장에서는 환율 급등과 서울 집값 불안, 미국 금리 동결 등 복합적 요인으로 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하다. 기준금리 인하 신호는 집값 상승과 외국인 자본 유출을 자극할 수 있어 부작용 우려가 크다. 경기 회복세도 인하 필요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금융일반
불장에 빚투 늘었다···10월 주담대 증가폭 줄고 신용대출 '쑥'
10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3조5000억원 증가해 1173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감소했으나 개인투자자의 빚투 열풍 등으로 기타대출이 1조4000억원 늘었다. 코스피 상승과 주택거래 선수요가 자금 수요를 자극했으며, 금융당국은 대출 건전성에 대해 경계할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금융일반
이창용 한은 총재 "통화완화 사이클 유지···방향 전환, 새 데이터 따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통화완화 사이클 유지 입장을 밝혔으나, 금리 인하 여부와 시기는 경제 지표 등 새로운 데이터에 좌우될 것이라 했다. 성장률 전망과 원화 약세의 다양한 요인을 언급했으며, 한은의 매파적 메시지에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상승세를 보였다.
금융일반
금리 인하 사이클 '끝'?···부동산·환율 급등에 한은 고심↑
원·달러 환율이 7개월 만에 1460원을 돌파하며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졌다. 서울 집값 역시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와 시장금리 급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해 기준금리 결정에 대한 부담이 높아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