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음료
미국이 웃고 '불닭'은 운다···15% 관세 직격탄
미국이 한국산 식품에 15% 관세를 적용하며 삼양식품 등 국내 수출업체의 부담이 커졌다. 관세 인상으로 수익성 악화와 가격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고, 주요 기업들은 가격 인상·현지 생산·수출국 다변화 등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반면 CJ제일제당과 농심은 현지 공장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다.
[총 62건 검색]
상세검색
식음료
미국이 웃고 '불닭'은 운다···15% 관세 직격탄
미국이 한국산 식품에 15% 관세를 적용하며 삼양식품 등 국내 수출업체의 부담이 커졌다. 관세 인상으로 수익성 악화와 가격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고, 주요 기업들은 가격 인상·현지 생산·수출국 다변화 등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반면 CJ제일제당과 농심은 현지 공장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다.
재계
삼성·LG에 30조 발주···韓美 협상 숨은 주역은 머스크?
이재명 정부가 미국과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통상 협상에 성공한 가운데, 테슬라와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이 총 30조 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맺었다. 일론 머스크가 AI 칩 생산 협력을 직접 공개하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과 미국 수출 경쟁력이 크게 부각됐다.
전기·전자
실적 주춤한 삼성전자, AI와 테슬라 수주로 반등 모색(종합)
삼성전자는 2분기 매출 74조6000억원, 영업이익 4조7000억원을 기록하며 반도체 부문이 6개 분기 만에 최저 영업이익을 나타냈다. 메모리 가격 약세, 재고 부담, 미국 관세 등 영향으로 부진했으나, AI 서버용 메모리 및 테슬라 수주, 신제품 출시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공업·방산
[관세 타결]'50%' 유지···철강업계만 '고립무원'
미국과 한국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은 관세가 인하됐으나, 철강·알루미늄에는 50% 고율관세가 유지됐다. 이로 인해 국내 철강업계는 연 2조4000억원 피해가 우려되며, 실제 수출액도 8% 감소했다.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
현대차·기아, 관세로 '1.6조' 잃었지만···"반등 사활"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25% 부과로 2분기에만 약 1조6142억원의 영업이익 손실을 기록했다. 두 기업 모두 수익성 하락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 점유율 방어를 택하며 공격적 프로모션과 현지 맞춤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가격 인상은 자제하고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주목하며 장기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자동차
기아 "관세 여파 흔들리지 않고 美 점유율 늘릴 것"
기아는 미국 관세 영향에도 흔들림 없이 북미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 미국 내 생산 차량을 현지 시장에 우선 공급하고, 수출 물량을 재조정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카니발, K4 등 인기 차종과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하반기 점유율 6% 달성을 목표로 한다.
자동차
기아, 친환경 약진에도 美 관세 직격탄···"하반기 본격 대응"(종합)
기아는 올해 2분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이 24.1% 감소했으나,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29조3496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는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관세와 경쟁 심화로 악화되었다.
자동차
기아, 2Q 영업익 2조7648억···전년比 24.1%↓
기아는 2025년 2분기 도매 기준 81만4888대를 판매하며 매출 29조3496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신차 출시가 실적 성장을 이끌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1%, 23.3% 감소했다.
에너지·화학
OCI홀딩스, 2분기 영업손실 777억원··· 美 관세 불확실성 영향
OCI홀딩스가 미국의 동남아 관세 및 IRA 정책 불확실성으로 올해 2분기 77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수요 감소와 일회성 비용이 실적 악화에 반영됐으며, 회사는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소재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중공업·방산
현대제철, '관세 리스크' 속 실적 선방···하반기 반등 '시동'(종합)
현대제철이 2분기 제품 판매량 증가와 원료가격 하락 등으로 세 분기 만에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으며, 하반기에는 중국 철강 감산과 경기 부양책, 미국 투자 등으로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별도 실적은 여전히 적자이나, 자회사 실적 회복과 구조조정, 후판 관세 등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