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 서울 35℃

  • 인천 35℃

  • 백령 31℃

  • 춘천 31℃

  • 강릉 34℃

  • 청주 35℃

  • 수원 34℃

  • 안동 33℃

  • 울릉도 29℃

  • 독도 29℃

  • 대전 35℃

  • 전주 35℃

  • 광주 35℃

  • 목포 33℃

  • 여수 32℃

  • 대구 34℃

  • 울산 33℃

  • 창원 34℃

  • 부산 34℃

  • 제주 32℃

유통·바이오 동국생명과학, 정체된 주가에 승부수···공장 증설·무상증자 병행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동국생명과학, 정체된 주가에 승부수···공장 증설·무상증자 병행

등록 2025.07.25 14:39

현정인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숫자 읽기

1주당 신주 1주 배정, 보통주 1599만주→3198만주로 증가

자본금 80억원→160억원 확대

신주 배정 기준일 8월8일, 상장 예정일 8월29일

현재 상황은

상장 초기 거래량 2932만주→최근 일평균 5만주로 급감

주가, 공모가(9000원) 전후로 횡보

2023년 매출 1318억원, 영업이익 119억원 기록

공모 희망가 대비 낮은 공모가로 상장

향후 전망

고령화·만성질환 증가로 진단영상 치료 수요 확대 예상

MRI 조영제 신약, AI 의료기기 등 신사업 병행 추진

MEMD 사업부 통한 의료기기 유통 및 AI 플랫폼 기업 전환 목표

주가 횡보·거래량 급감 속 100% 무상증자 결정안성공장 조영제 설비에 123억 원 투자···CAPA 확대 나서MEMD·AI 의료기기 등 중장기 성장 축도 추진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코스닥 상장사 동국생명과학이 기업공개(IPO) 이후 첫 무상증자 카드를 꺼내들었다. 주가 정체와 거래량 위축 속에 유동성 확대를 통해 주주 가치 제고를 노리는 한편 안성공장 설비 투자로 중장기 성장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동국생명과학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의했다. 이번 무상증자로 보통주 발행 주식 수는 기존 1599만주에서 3198만주로 늘어나며 자본금도 약 80억원에서 160억원으로 증가한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8월8일, 상장 예정일은 8월29일이다.

회사 측은 무상증자 배경에 대해 "주주 이익 극대화 및 유동성 확보를 통한 투자자 기반 확대"라고 설명했다. 실제 거래량은 상장 초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상태다. 상장 첫날(2월17일) 거래량은 2932만주에 달했으나 이달 일평균 5만주 수준으로 급감했다. 주가 역시 공모가(9000원)를 전후로 횡보를 이어가고 있다.

동국생명과학은 지난해 매출 1318억원, 영업이익 119억원을 기록하며 '돈 버는 바이오' 기업으로서 안정적인 실적을 냈지만, IPO 당시 공모 희망가(1만2600~1만4300원) 대비 실제 공모가는 9000원으로 확정되며 기대치에는 못 미쳤다.

회사 측은 이번 무상증자가 단기적인 거래 활성화는 물론 중장기적인 사업 확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핵심은 안성공장 신규 설비 투자다. 동국생명과학은 조영제 생산 능력(CAPA) 증대를 위해 123억원을 투입, 조영제 완제 라인을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조영제는 동국생명과학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품목이다. 회사는 국내 최초 퍼스트 제네릭 조영제 '파미레이'와 함께 일부 품목에 대해 원료부터 완제까지 국산화에 성공한 상태다. 하지만 1분기 기준 완제 가동률은 99.3%에 달해 사실상 포화 상태다.

회사는 안성공장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해 설비를 증설하고 이를 통해 향후 조영제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진단영상 치료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조영제 수요 확대에 대비해 생산라인 증설을 추진하는 동시에 MRI 조영제 신약 개발 및 AI 의료기기 등 신사업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동국생명과학은 조영제 사업 외에도 의료장비·기기 유통을 담당하는 MEMD 사업부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회사는 MEMD 부문의 수익성 확대와 함께, 장기적으로 AI 기반 의료기기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도 꾀하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