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2월 초 임원 인사 예정사법리스크 속 쇄신vs안정 선택 주목컨트롤타워 부활 당분간 가능성 희박
20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다음달 4~5일경 정기 임원인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해 부진한 실적을 거둔 만큼 대대적인 쇄신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으나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로 안정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 회장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줄곧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국정농단 사건 관련 특별사면을 받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불법승계 및 회계부정 사건의 재판을 받았다.
검찰은 지난 17일 결심공판에서 징역 5년과 벌금 5억원을 구형했으며 재판부의 1심 선고기일은 내년 1월 26일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삼성은 내년 1월 말까지 내부 긴장감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업계에서는 사장단 인사에서 '투톱 체제'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통해 한종희 부회장과 경계현 사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2022년과 2023년은 투톱 체제가 유지됐으나 내년부터는 폴더블폰 성공을 이끈 노태문 사장이 대표이사 자리에 올라 과거 3인 시스템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올해의 경우 반도체 부문의 실적이 3분기까지 12조6900억원의 적자를 낸 가운데 모바일 부문은 삼성전자의 실적 견인차 역할을 담당했다.
업황 부진으로 올해 적자 행진을 이어간 반도체 부문의 변화에도 눈길이 쏠린다. 수익성 개선이 시급하고 업계 내 첨단 기술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인물로 조직 내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추측이다.
가전 부문의 경우 새로운 인물이 임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가전(DX)사업부장 자리는 지난해 10월 이재승 사장이 사퇴한 이후 한 부회장이 지금까지 겸직해 왔으나 올해 연말 인사를 통해 담당 임원이 새롭게 선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편 지속적으로 필요성이 언급되는 그룹 내 컨트롤타워 구축은 올해 연말 조직개편에서도 가능성이 희박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사법 리스크 장기화 가능성이 있는 만큼 과거 스스로 해체한 미래전략실(미전실)과 유사한 기능의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은 부담감이 클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 17일 열린 결심공판에서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전실 실장은 최후진술을 통해 미전실 기능과 역할에 대해 검찰 측이 이해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최 전 실장은 "삼성은 여러 제약으로 지주사 체제를 갖추지 못했고 이에 미전실도 부득이하게 임의 조직의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면서 "미전실이 하는 일은 기본적으로 사전 검토나 지원의 성격으로 계열사 의사결정에 일정 부분 영향력은 가지지만 의사결정을 구속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각 계열사들은 미전실의 제안을 참고할 뿐 각사의 입장에서 검토하고 판단해 법적 절차에 따라 결정하고 경영진은 스스로 결정에 대해 책임을 지는 구조였다는 설명이다.
미전실 해체 후 삼성은 ▲사업지원TF(삼성전자) ▲금융 경쟁력 제고TF(삼성생명) ▲EPC(설계·조달·시공) 경쟁력 강화TF(삼성물산) 등 3개의 태스크포스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으나 대형 M&A나 미래 먹거리 발굴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도 "작은 돛단배에는 컨트롤타워가 필요 없지만 삼성은 큰 항공모함"이라며 "컨트롤타워가 없으면 효율성과 통일성 측면에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의 1심 선고에서 유죄가 나올 경우 지금보다 경영활동은 위축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사법리스크가 불거진 상황에서 인사의 경우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각 기업의 판단에 따라 외부에 사법리스크와 별개로 흔들림 없이 간다는 메시지를 주기 위해 쇄신에 나설 수도 있고 안정감을 강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