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 토요일

  • 서울 12℃

  • 인천 9℃

  • 백령 8℃

  • 춘천 9℃

  • 강릉 17℃

  • 청주 12℃

  • 수원 8℃

  • 안동 10℃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10℃

  • 전주 11℃

  • 광주 10℃

  • 목포 12℃

  • 여수 12℃

  • 대구 13℃

  • 울산 13℃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6℃

“물가 상승 압력 지속”···내년 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커졌다(종합)

“물가 상승 압력 지속”···내년 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커졌다(종합)

등록 2021.12.16 16:30

한재희

  기자

공급·소비측 물가 상승 복합적 작용금리 인상으로 물가 상승 억제 효과이주열 “금리 정상화 기조 변화없어”금리 미리 인상···통화정책 유연성 확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내년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를 상회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한국은행이 내년 1월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올해 이미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미국과의 금리차를 벌리는 등 통화정책 운용에 여유가 있는 상황인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를 내년에도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다. 다만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정부의 방역 조치가 실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변수다.

한국은행이 16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고 내년에는 농축산물가격과 유가 등 공급요인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물가상승률이 올해보다 다소 낮아지겠지만 2% 대의 상승률을 이어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1~11월 중 2.3% 상승하며 지난해 0.5%에 비해 오름폭이 크게 확대됐다. 연간 상승률로는 2012년 2.2% 이후 처음으로 물가안정목표 2%를 상회할 전망이다. 특히 11월 상승률은 3.7%로 2011년 12월 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란게 한은의 설명이다. 공급 측면에서의 상승 압력이 완화되더라도 수요측면에서 수출이 양호한 증가흐름을 유지하면서 민간소비가 회복돼 물가 상승압력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 따라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 1%를 상회한 데 이어 내년에는 2%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당폭 높아질 전망이다.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물가 상승압력이 내구재를 중심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은은 물가경로 상방 리스크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평가했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높은 오림세가 지속되고 글로벌 공급병목 장기화, 소비회복세 확대,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등이 상방 리스크로 잠재있다. 다만 국내외 코로나19 확산세 심화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등은 하방 리스크로 평가됐다.

글로벌 공급병목이 우니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결과 아직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는 상황으로 한은은 판단했다.

에너지 및 축산물 가격은 주요 선진국과 비슷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내구재가격은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제한적이어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불안해지고 이 또한 물가상승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앙은행으로서는 기대 인플레이션 움직임에 대해 유의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물가 불안 심리 확대 막으려면 현재 물가 상승률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두 차례 금리 인상을 통해 통화정책 완화정도를 줄여나가는, 통화정책 정상화를 결정한 배경에는 금융불균형뿐 아니라 기대 인플레이션의 안정 등에 대한 고려가 반영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들어 물가상승의 속도가 빨라지고 그 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앞으로도 중앙은행은 실제 인플레이션과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호 영향을 주며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화정책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덧붙여 “내년 1월, 2월이라고 미리 정해둔 것도 아닌만큼 코로나 확산세 심화, 방역조치 강화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면서도 “금리 인상 기조는 바뀐 것이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올해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에 여유가 있다는 점도 내년 1월 인상설에 힘을 싣고 있다.

이 총재는 “대외 요인보다 국내 요인에 맞춰 (통화정책을) 하는 게 맞다”면서 “저희가 움직일 수 있을 때 미리 움직였기 때문에 연준의 (정상화) 속도에 따라 피동적으로 끌려갈 리스크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은이 선제적으로 움직인 게 정책운용에 있어 여러 가지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도 영향을 좀 주겠지만 국내 경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볼 때 금리 정상화를 계속 끌고 가겠다는 종래의 기조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