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반도체 업계 사정에 밝은 관계자 말을 인용해 웨스턴디지털이 키옥시아와 합병을 논의하고 있으며 거래 금액은 200억달러(약 23조3천억원)를 웃돌 것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이 관계자가 이르면 9월 중순께 협상이 타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딜은 미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확대 및 중국에 대한 경쟁력 확보 전략에 걸맞는다”고 평가했다.
23조원 규모에 달하는 이번 낸드 ‘빅딜’이 성사된다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또 한번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글로벌 낸드 시장의 제조사별 점유율은 삼성전자(33.4%), 키옥시아(18.4%), 웨스턴디지털(14.2%), SK하이닉스(12.2%), 마이크론(11.9%), 인텔(7.4%) 순이다.
SK하이닉스가 진행 중인 미국 인텔의 낸드 사업부 인수를 마칠 경우 점유율은 19.6%로 뛰어오른다. 만일 세계 2,3위 업체인 웨스턴디지털과 키옥시아와 합병하면 양사 합산 점유율은 32%에 달해 삼성전자를 위협하게 된다.
웨스턴디지털과 키옥시아 합병이 실행된다면 메모리 반도체 낸드 시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웨스턴디지털-키옥시아 3강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다만 합병이 성사되려면 일본, 중국 등 관련 당국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키옥시아는 일본에 남아있는 마지막 대형 반도체 기업이어서 일본 정부가 승인에 나설지 여부도 향후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lenn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