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 서울 25℃

  • 인천 24℃

  • 백령 24℃

  • 춘천 26℃

  • 강릉 27℃

  • 청주 26℃

  • 수원 25℃

  • 안동 27℃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26℃

  • 전주 27℃

  • 광주 27℃

  • 목포 23℃

  • 여수 21℃

  • 대구 28℃

  • 울산 24℃

  • 창원 25℃

  • 부산 24℃

  • 제주 19℃

미중갈등 검색결과

[총 16건 검색]

상세검색

이창용 "미중 협상 지연시 경제적 비용 커···불확실성 확산"

금융일반

이창용 "미중 협상 지연시 경제적 비용 커···불확실성 확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과 중국 간 협상이 안 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워싱턴DC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 간담회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 총회 논의 내용을 전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어떻게든 협상해서 문제

대중 상호관세 여파에 美 틱톡 인수 제동···트럼프, 틱톡 금지 유예

일반

대중 상호관세 여파에 美 틱톡 인수 제동···트럼프, 틱톡 금지 유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에 반발한 중국이 틱톡의 미국 인수에 제동을 걸자, 미국 정부가 4일(현지시각) 틱톡 금지 유예 시간을 75일 연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틱톡이 미국에서 계속 운영될 수 있도록 75일간 금지를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틱톡의 미국 사업을 새로운 미국 법인으로 분사한 뒤 미국 투자자들이 그 법인의 지분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는 소수 지분만

③ 원료약 중국 의존 심화 '아킬레스건'

제약·바이오

[트럼프 시대, 제약바이오 미래]③ 원료약 중국 의존 심화 '아킬레스건'

2025년 1월 20일(현지시간) 미국 47대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시대가 열린다. 트럼프의 더 강력해진 '아메라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에 맞춰 글로벌 산업계도 생존 전략을 마련하는 모습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또한 트럼프 공약에 맞춰 대미 정책을 변경하고 있다. 트럼트 2기 시대를 앞두고 약가 인하·대중국 필수 수입품 금지 등에 따른 기대감과 강력한 관세정책, 공보험 분야 축소 등의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현실과 과제

삼성바이오로직스 1조7000억원 CMO 계약···역대 최대 규모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1조7000억원 CMO 계약···역대 최대 규모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7000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작년 전체 수주액인 3조5009억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규모 수준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시아 소재 제약사와 1조7028억원(12억4256만 달러)의 초대형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며 계약 기간은 2037년 12월 31일까지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 미국 소재 제약사와 1조4600억원

미중 갈등 최대 수혜는 원료의약품···"'가격경쟁력' 확보 관건"

제약·바이오

미중 갈등 최대 수혜는 원료의약품···"'가격경쟁력' 확보 관건"

"결국은 원료를 잡아야 한다. 미중 갈등 수혜 분야로 CDMO(위탁개발생산)가 떠오르고 있지만 정작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원료의약품(API)이다."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는 최근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이같이 말하며 원료의약품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세계 제약바이오업계는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으로 촉발된 미중 갈등

CDMO 각축장 열린다···中자리 꿰차기 '총력'

제약·바이오

[바이오USA 미리보기]CDMO 각축장 열린다···中자리 꿰차기 '총력'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행사인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USA)'가 내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다. 미국 바이오협회 주관으로 매년 열리는 이 행사는 보스턴·샌디에이고 등 미국 내 바이오클러스터가 있는 주요 도시에서 2만여명 이상의 전 세계 바이오제약 업계 관계자가 모여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장이다. 이번에는 '타임 포 사이언스 투 샤인(Time for Science to Shine·과학이 빛날 시간)'이라는 주

美, 중국 바이오 규제에 CDMO 타격···"'삼성바이오' 수혜 기대"

제약·바이오

美, 중국 바이오 규제에 CDMO 타격···"'삼성바이오' 수혜 기대"

미국 정부가 중국 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규제 강화에 나선 가운데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가 대상에 포함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30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중국 바이오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해야한다는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적대적 바이오기업에게 미국의 세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폰부터 車까지" 격해지는 미·중 갈등, 韓부품사 긴장감 고조

전기·전자

"폰부터 車까지" 격해지는 미·중 갈등, 韓부품사 긴장감 고조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지속되며 스마트폰과 전장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부품사들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당장 큰 영향은 없겠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기업들도 일정 부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중국 정부가 자국 전기차 업체에 들어가는 전자부품을 중국산으로 사용할 것을 내부적으로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고위 인사는 중국 전기차 업체에 부품 사용률에 대한 수치 목표도 세울 것을 요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