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바이오
대웅 펙수클루 中 허가···세계 최대 시장서 HK이노엔과 본격 경쟁
대웅제약의 P-CAB 계열 치료제 '펙수클루'가 중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으며 HK이노엔의 '케이캡'과 함께 국산 치료제 양강 구도를 이룰 전망이다. 중국 항궤양제 시장이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성이 높고, 펙수클루는 긴 반감기와 임상 데이터로 차별화에 나섰다. 대웅제약은 적응증 확대 임상도 진행 중이다.
[총 413건 검색]
상세검색
제약·바이오
대웅 펙수클루 中 허가···세계 최대 시장서 HK이노엔과 본격 경쟁
대웅제약의 P-CAB 계열 치료제 '펙수클루'가 중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으며 HK이노엔의 '케이캡'과 함께 국산 치료제 양강 구도를 이룰 전망이다. 중국 항궤양제 시장이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성이 높고, 펙수클루는 긴 반감기와 임상 데이터로 차별화에 나섰다. 대웅제약은 적응증 확대 임상도 진행 중이다.
증권일반
대웅제약, 中 펙수클루 시장 진출 소식에 주가 상승 마감
대웅제약이 개발한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가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상승마감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전 거래일 대비 1.55% 오른 14만45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14만2300원에 거래를 시작한 대웅제약은 장 초반 하락세를 지속했으나 중국 시장 진출 소식이 전해지면서 상승 전환, 장중 주가가 14만89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
제약·바이오
씨어스테크, 대웅제약 협업에 2분기 흑자···의료 AI 첫 연간 흑자 기대
씨어스테크놀로지는 대웅제약과의 협업으로 2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해 상반기 누적 흑자를 기록했다.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씽크와 모비케어 등 IoMT 기반 제품 매출이 급증했으며, 이는 국내 의료 AI 기업 가운데 최초의 연간 흑자 달성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 진출과 신제품 개발도 추진 중이다.
제약·바이오
美보톡스 전쟁, 대웅·휴젤 질주···메디톡스는 진입 지연 늪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 대웅제약과 휴젤은 미국 등 해외 시장 진출 효과로 2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반면, 메디톡스는 필러 매출 감소로 성장세가 둔화됐다. 세 기업 모두 주력 톡신 실적은 증가했으나, 미국 시장 진입 여부와 포트폴리오 전략에 따라 성과 차이가 뚜렷해졌다.
제약·바이오
대웅제약, 나보타 중국 품목허가 신청 자진철회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중국 품목허가 신청을 자진취하했다. 대웅제약은 30일 공시를 통해 2021년 12월 30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신청한 나보타 품목허가를 취하했다고 밝혔다. 대웅제약 측은 "품목허가가 통상 승인되는 기간을 초과하는 상황"이라며 "회사 내부의 종합평가와 사업 개발 전략 조정에 따라 확실하게 허가를 받기 위해 충분한 보완을 거쳐 다시 제출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해 자진 철회를 결정했다"고 설명했
제약·바이오
대웅제약 항암 바이오시밀러 승부수···성장동력 확보
대웅제약이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본격 진출하며, 첫 파이프라인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듀피젠트 시밀러를 준비하고 있다. 신설된 BS사업본부와 바이오 시밀러 업계 전문가 영입을 통해 항암제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자체 신약과 협업 전략을 병행한다.
제약·바이오
제약사 1조 클럽, 녹십자·대웅만 '함박 웃음'
전통 제약사들의 1분기 실적이 엇갈렸다. 유한양행은 해외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목표에 미치지 못했으며, 한미약품은 매출과 이익 모두 감소했다. 반면, GC녹십자와 대웅제약은 각각 흑자전환과 매출 성장에 성공했다. 연구개발 비용 증가가 일부 기업의 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제약·바이오
대웅제약, 1분기 영업익 34%↑···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대웅제약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4.49% 증가한 42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상승을 주도한 펙수클루와 나보타의 성장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또한 엔블로는 중남미와 러시아 등 총 19개국에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대웅제약, 중남미·러시아 7개국 '엔블로' 허가 신청
대웅제약이 국산 신약 '엔블로'로 중남미와 러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중남미 6개국과 러시아에서 당뇨병 치료제 허가를 신청, 현재까지 19개국에 진출했다. SGLT-2 억제제로서 혈당 조절 및 건강 개선 효과가 입증돼 주목받고 있으며, 2030년까지 30개국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대웅제약, 국산 P-CAB 최초 인도 진출···1조4000억 시장 공략
대웅제약은 국산 P-CAB 제제 펙수클루를 인도 항궤양제 시장에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선파마와의 협력을 통해 출시를 가속화했으며, 인도 임상 결과 펙수클루의 뛰어난 치료 효과와 비열등성을 입증했다.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