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음]원명수(전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씨 별세 △원명수(전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씨 별세, 원경애씨 배우자상, 원태식·선희씨 부친상 = 18일, 서울성모장례식장 23호실, 발인 21일 오전 7시 30분, 장지 서울추모공원-에덴낙원, 02-2258-5977
CJ제일제당, 15년 보유한 테라젠이텍스 지분 전량 매도···"식품 본업 집중 차원" CJ제일제당이 15년간 보유하던 테라젠이텍스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제약 분야에서 완전히 철수하며 식품 본업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투자 원금 대비 약 4억 원의 손실을 감수했다. 기존 바이오 포트폴리오도 마이크로바이옴 등 식품 연계 분야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재편했다.
한미 정상회담 D-6···李대통령, 재계와 투자 논의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삼성, SK, LG 등 주요 기업인들과 대미 투자 간담회를 열었다. 기업들은 관세 협상에서 나타난 성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협력 의지를 확인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국내 투자 확대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약속했다. 재계는 한미 정상회담이 산업 경쟁력 강화와 미국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주우정 현대ENG 대표 "안전·품질·환경을 최우선에 두고 모든 업무 실행"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2월 발생한 붕괴 사고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19일 주우정 대표 명의의 '세종-안성 고속도로 사고 조사 결과에 대한 입장문'에서 "유가족분들, 부상을 입으신 분들과 그 가족분들께도 진심 어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그동안 불편을 겪은 지역 주민분들께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 측은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이더리움, 금리 인하 앞두고 조정 국면···ETF 순유출도 한몫 이더리움이 4200달러선까지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기대 약화와 현물 ETF에서 잇단 자금 이탈이 투자심리 위축에 영향을 줬다. 스테이블코인 발행 확대와 기관 매수 유입 등이 장기 성장 동력으로 주목되지만, 4180달러 지지선 붕괴 시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다.
파업권 확보 나선 현대차 노조...6년 무분규 깨지나 현대차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단체협상 결렬을 선언하며 파업권 확보에 나섰다. 노조는 임금 인상, 정년 연장, 성과급 확대 등 요구안을 고수하고 있으며, 25일 조합원 파업 찬반투표도 예고됐다. 업계는 실제 파업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으나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 등 대내외 변수가 노사 교섭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자수첩 상폐·상폐·상폐···상장폐지가 남기는 상처 올해 8월 중순까지 한국거래소가 최종적으로 상장폐지를 결정한 기업은 49곳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었다. 연간으로 봐도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반기보고서 제출 시기가 마무리되면서 감사의견 거절·한정을 받은 기업은 코스닥 시장에서만 37곳에 달한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16곳이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으니 상장폐지 요건을 충족한 기업은 총 53곳이다. 감사의견 거절은 기업 측이 회계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거나,
삼양식품만 웃었다···내수에 발목 잡힌 식품株 일제히 '내리막길' 삼양식품이 해외 매출 확대에 힘입어 '황제주'로 부상한 반면, 농심·CJ제일제당·오뚜기 등 국내 식품주들은 내수 시장 침체 여파로 주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실적 발표 결과, 상당수 식품기업이 국내 시장에서 부진을 겪으면서 전체 업종의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NW리포트 속도 못내는 5세대 실손보험···유인책은 미정, 근본적 문제 '여전' 5세대 실손보험 도입 작업이 금융당국 개편과 정책 지연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보험료 인하와 구조 개선이 기대됐으나, 제도 설계와 1·2세대 계약자 전환 방안이 확정되지 않아 보험업계와 소비자 모두 불확실성 속에 혼란이 커지고 있다.
"중대재해 기업 대출 문턱 높여라" 주문 받은 은행권 난처 금융당국이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 등 불이익을 검토하며 은행권 내부 준비에 착수했다. 투자자 보호와 기업 경각심 제고 차원에서 추진되나, 우량 고객사인 대형 건설사 등에 대한 실제 적용과 영세기업 불이익 가능성 등에서 현장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