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KCC 정몽진·정몽익 '지분 맞증여'···계열사 교통정리 속도 KCC그룹 정몽진 회장과 정몽익 회장이 서로의 자녀를 대상으로 지분을 증여하며 계열사 분리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향후 KCC의 지배구조 개편과 자녀들의 승계 행보에 시선을 쏟고 있다. KCC그룹은 정상영 명예회장의 세 아들인 정몽진·정몽익·정몽열 회장이 주력 계열사를 나눠 지배하고 있다. 첫째 정몽진 회장이 KCC를, 둘째 정몽익 회장이 KCC글라스를, 셋째 정몽열 회장이 KCC건설을 맡아 각사의
지배구조 2024|두산 '오뚝이' 두산···사업재편 제동에도 구조개편 계속 두산그룹이 사업구조 개편 무산에도 인수합병(M&A) 작업을 착착 진행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기존 사업구조 개편 무산 후 두 건의 양수·합병 작업을 진행했다. 주요 사업은 두산그룹이 영위 중인 수소연료전지와 시스템 반도체 웨이퍼 분야다. 계열사별로는 두산테스나가 지난 2월 인수한 자회사 엔지온을 흡수 합병했다. 엔지온은 이미지센서 반도체 후공정 전문 기업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실리콘카바이드 전력반도체와 디스플
지배구조 2024|동아쏘시오 '박카스'는 잊어라···'시밀러·신약·CDMO' 시너지 동아쏘시오그룹이 오너 3세 강정석 회장의 경영 복귀 이후 미래 먹거리 사업에 탄력을 받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옛 동아제약은 피로회복제 '박카스'와 일반의약품, 제네릭의약품(복제약) 등을 중심으로 내수시장에 집중하며 국내 1위 제약사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해외로 뻗어 나가기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회사를 분사했다. 그룹 계열사 중 동아에스티, 에스티팜, 에스티젠바이오 등 에
지배구조 2024|동아쏘시오 강정석 회장, '책임경영' 최고점 동아쏘시오그룹 지배구조 최정점에 있는 강정석 회장이 내실 경영에 집중하며 옛 동아제약 명성 찾기에 나서고 있다. 오너 3세인 강 회장은 창업주인 고(故) 강중희 회장의 손자이자 고 강신호 명예회장의 사남이다. 그룹은 2013년 3월 인적 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인 동아쏘시오홀딩스와 전문의약품 자회사 동아에스티, 물적분할을 통해 일반의약품 자회사 동아제약을 설립했다. 현재 기준 동아쏘이오홀딩스의 주요 종속기업은 동아제약, 용마로지스, 동천
지배구조2024|두산 에너지 회사로 변화하는 두산···칠전팔기 교통정리 '막바지' 두산그룹의 운명의 날이 11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룹 사업 재편에 연일 제동을 걸던 금융당국의 승인마저 완료됐고, 이제 주주들의 최종 승인만이 남았다. 주주총회에서 새로운 사업재편 안이 통과되면 두산그룹은 칠전팔기 도전 끝에 사업 구조를 새롭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향후 두산은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주도하에 소형모듈원자로(SMR), 대형 원전 등 에너지 사업에 조(兆) 단위 실탄을 쏟아부을 것으로 전망된다. 운명의 날 코앞으로…열쇠는
지배구조2024|토스 금융권 뒤흔든 '메기'···초고성장 이끈 이승건의 뚝심 '토스' 앱을 금융권 간판 플랫폼으로 성장시킨 이승건 대표의 뚝심이 주목받고 있다. 모두가 우려했던 간편송금 서비스를 시장에 안착시키고 안정적인 지배력까지 확보했다는 평가다. 금융권 '메기'로 등장해 금융지주에 도전장을 낸 토스는 어느덧 10조원 이상의 몸값을 바라보게 됐다. 비바리퍼블리카가 운영하는 '토스' 앱은 국내 간편송금 시장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지난해 일 평균 전자금융업자의 간편송금 규모는 7661억원으
지배구조2024|토스 미국 증시서 몸값 10조 도전···관건은 '수익성' 꾸준히 기업공개(IPO)를 추진해 온 비바리퍼블리카(토스)가 국내 대신 미국 증시 상장에 도전한다. 쿠팡의 사례처럼 미국에서 더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10조원 이상의 몸값을 정당화하기 위해선 각 계열사의 수익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토스는 최근 국내 상장 계획을 보류하고 미국 증시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한 토스는 외
지배구조 2024|아모레퍼시픽그룹 역성장 하는 서경배···'승계'도 묘연 글로벌 화장품 기업으로 성장한 '아모레퍼시픽' 지주사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성공 배경엔 서경배 회장이 빠질 수 없다. 서 회장은 지난 1997년 그룹 모태인 태평양화학을 아버지인 고(故) 서성환 창업주로부터 물려받으며 대표이사 자리에 앉게 됐다. 이후 2002년 아모레퍼시픽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2006년에는 아모레퍼시픽그룹을 지주사로 출범시켰다. 사령탑에 오른 지 10년도 채 되지 않아 단일 기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키워낸 것이다. 그러나 '승승장구'
지배구조2024|일동제약② "R&D 계열사 늘린다"···'신약개발'에 오너십 발휘 일동제약그룹이 신약개발(R&D)을 전문으로 하는 계열사를 늘리며 재무개선과 미래 먹거리 확보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고 있다. 역할 다른 R&D 자회사…전문화·효율화 목적 일동제약그룹은 현재 4개의 R&D 자회사를 보유 중이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11월 자사 R&D 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해 자회사 유노비아로 분사했다. 앞서 회사는 지난 2020년 아이리드비엠에스(iLedad BMS)를 출범시키고 이듬해 7월 지분 투자를 통해 계열사로 편입시킨 바
지배구조2024|일동제약① R&D 기업으로 거듭···윤웅섭의 뚝심 2016년 8월 지주사 체제 전환과 함께 오너3세 윤웅섭 대표로 경영권 승계를 마친 일동제약이 신약개발기업으로 체질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동제약은 1941년 고(故) 윤용구 회장이 극동제약을 인수하며 사업을 시작했다. 이듬해 일동제약으로 상호를 변경한 후 비오비타, 아로나민 등 일반의약품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다. 1970년대에 들어선 이후 2세인 윤원영 회장이 경영권을 쥐었고 윤웅섭 대표는 2013년부터 이정치 회장, 정연진 부회장 등과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