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러한 비극이 다시는 반복돼선 안된다"며 "사고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에 기반한 실질적 개혁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최고경영자(CEO)와 동등한 공동 결정권을 가진 '그룹안전특별진단 TF'에서 가시적인 대안을 만들어내던 중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더욱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전했다. '지시받는 안전'에서 벗어나 노동자가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주체적 안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자생안전(Self-Safety) 철학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노동자로부터 시작되는 Bottom-up 안전 ▲현장 중심의 Field 안전 ▲노동자가 안전 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Collaboration 안전 등 3대 노동자 중심 안전전략을 통해 안전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노조는 "조합원의 생명과 안전은 어떤 가치와도 바꿀 수 없는 절대 기준이며, 더 이상의 희생을 단호히 거부한다"라며 "포스코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기업으로 거듭나는 그 순간까지 모든 수단과 책임을 다해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번 사고를 계기로 현행 안전관리 체계의 구조적 한계를 정면으로 지적했다. 현재 포스코의 안전 시스템은 불필요한 문서·보고·중복 업무가 현장을 압박해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심각하게 잠식하고 있다고 전했다.
노조는 "현장이 요구하는 것은 종이 위의 안전이 아니라 실제로 안전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인력"이라며 "현장은 지킬 사람도 시간이 없는데 '현장지킴이 배치 강화'를 반복하는 행정 중심 안전은 오히려 재해 위험을 높이는 터무니없는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일선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위에서 만든 지시형·보고형 대책만 되풀이한다면 포스코의 재해는 절대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현장을 외면한 형식적 안전행정을 즉각 중단하고 실질적 변화로 전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