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 절반 주주에게···금융지주 자본활용 패러다임 전환우리금융, 감액배당으로 배당수익 제고···4대금융 전체 확산전문가 "기계적 목표치 경계···자본적정성·투자여력 균형 필요"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을 제외한 4대 금융은 2027년까지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합한 총주주환원율을 5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초과 자본은 모두 주주환원에 투입한다는 원칙 아래 분기별 균등배당과 대규모 자사주 매입·소각을 잇따라 공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결과 4대 금융의 연간 주주환원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KB금융은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주주환원 기조가 가장 뚜렷한 곳으로 꼽힌다. 증권가에 따르면 올해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합산한 총주주환원율은 54%를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이 5조1217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3분기 배당금은 주당 930원으로 전년 대비 17% 늘었다. KB금융은 "CET1 비율이 13.5%를 초과하는 부분은 모두 주주환원에 사용하겠다"며 하반기에도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을 예고했다.
3분기 기준 KB금융의 CET1 비율은 13.83%로 국내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익 축적보다 환원 중심의 자본정책을 굳힌 KB금융은 4대 금융 가운데 가장 먼저 '주주환원율 50% 시대'를 실현할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도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기반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속도를 내고 있다. 9월 말 기준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6.10%,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3.56%로, 환율 상승에도 효율적인 자본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신한금융은 충분한 자본여력을 바탕으로 일관된 배당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3분기 주당 배당금은 570원으로 분기 균등 배당 기조를 유지했으며, 최근 몇 년간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도 꾸준히 확대됐다. 실제로 자사주 환원 규모는 2022년 3000억원, 2023년 4859억원, 2024년 7000억원에 이어 올해는 1조2500억원으로 증가했다. 내년 1월 중에는 추가로 2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단행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신한금융의 올해 총주주환원율을 약 46%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고 내년에는 50%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올해 역대급 배당···환원율 목표 조기달성 기대
하나금융은 분기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3분기 실적 발표에서 기존 계획에 더해 1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으며, 이를 모두 반영하면 올해 환원율은 약 44.6%로 추산된다. 하나금융의 연간 총환원 규모는 1조8031억원에 이르고, 현금배당성향(26%)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 5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최근 제도 변화에 따라 목표 시점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박종무 CFO는 지난 2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2027년 50% 타깃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지만, 상법 개정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등 외부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익 배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정책 변수에 따라 환원 구조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우리금융은 다른 금융지주에 비해 보수적인 환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4대 금융 중 유일하게 금융당국 권고 기준인 CET1 13%를 아직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다만 지난해 말 11.9%였던 CET1은 올해 3분기 말 12.9%까지 상승하면서 향후 환원 확대 기대감은 커졌다.
우리금융은 주당 630원의 4분기 배당 상향을 추진하고 있으며, 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도 계획하고 있다. 상반기에는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완료한 바 있다. 증권가는 올해 우리금융의 총주주환원율을 약 38~4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BNK투자증권은 2027년 목표인 환원율 40%를 내년 조기 달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금융지주별로 다양한 형태의 배당·환원 구조도 눈에 띈다. 4대 금융 모두 분기별 현금배당 제도를 도입해 안정적인 배당금 지급을 약속했고, 배당소득 분리과세 시행에 대비해 자사주 비중을 조절하고 있다. KB·신한·하나·우리 모두 올해 이미 잉여자본이 크게 늘어나면서 배당성향이 크게 오른 상태다. 여기에 자사주 매입으로 결집된 잉여 주식수 감소 효과까지 더해져 배당금(DPS) 증가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특히 우리금융이 올해 결산배당부터 도입하는 감액배당은 4대 금융 전체로 확산될 전망이다. CET1(보통주자본비율)을 훼손하지 않고 주주환원을 확대할 수 있어서다. 감액배당 시 우리금융의 배당수익률은 5%대로 치솟아 4대 금융 가운데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액배당은 자본준비금의 일부를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해 배당 재원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배당소득세가 면제돼 주주의 실질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 제도가 정착되면 배당 매력도와 총주주환원율 제고 속도가 함께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금융지주의 주주환원 강화 추세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금융지주들이 분기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소각을 이어가고 있지만, 경기 둔화와 정책 변수에 따라 속도 조절이 불가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분간 4대 금융은 자본 기준선(CET1) 수준에 따라 환원율을 조정하면서 주주가치 제고에 집중할 전망이다.
주요국 보다 높은 주주환원율···"위험요인 고려해 조정해야"
국내 은행들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을 위해 주주환원 강화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다만 장기적인 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배당과 자사주 환원에만 치우치기보다는 자본적정성 확보, 미래 성장 투자, 해외진출 등의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균형 잡힌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지주의 '총주주환원율 50%'는 주요국 대비 다소 높은 편이다. 일본은 약 40%를 목표로 삼고 있고, OECD 주요 회원국 은행지주의 평균은 미국·이탈리아를 제외하면 20~30% 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국내 은행들이 주주환원 목표치를 현실 여건과 위험 요인을 고려해 조정하고, 배당 기준을 총이익 대비 비율에서 주당 배당금(DPS)이나 증가율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권흥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지주의 주주환원 정책은 현재의 목표가 적정한지를 면밀히 고찰하고 잠재 부실을 염두에 둔 자본적정성과 해외진출 등 향후 투자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단계적으로 올려 나갈 필요가 있다"며 "또한 주주환원 정책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배당이 순이익에 연계되는 주주환원율이 아닌 주당 배당금 및 배당 증가율 등을 목표로 설정해 미래 배당에 대한 변동성 및 불확실성을 낮추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통주자본비율과 주주환원율을 기계적으로 연계하는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유연하고 전략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주주환원 정책의 배경과 결정과정에 대한 투명한 설명과 정책 변경 시의 적시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