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서울 26℃

인천 27℃

백령 23℃

춘천 25℃

강릉 29℃

청주 30℃

수원 29℃

안동 30℃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0℃

전주 31℃

광주 31℃

목포 31℃

여수 30℃

대구 32℃

울산 32℃

창원 31℃

부산 32℃

제주 31℃

IT '챗GPT' 오픈AI, 韓 통신 파트너로 SK텔레콤 낙점···왜?

IT 통신

'챗GPT' 오픈AI, 韓 통신 파트너로 SK텔레콤 낙점···왜?

등록 2025.09.16 11:14

강준혁

  기자

공유

SKT, 오픈AI와 B2C 협력···국내 통신사 최초오픈AI 한국 오피스 출범을 계기로 논의 속도'AI 청사진'과 부합···올해 하반기 수익화 모색

'챗GPT'로 유명한 오픈AI가 우리나라 통신사 중 처음으로 SK텔레콤(이하 SKT)과 손잡았다. 한국 지사를 설립하면서, 협업 논의에 속도가 났다는 전언이다. 이로써 국내외 주요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겠다던 SKT의 'AI 청사진'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샘 알트만 오픈AI 대표.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샘 알트만 오픈AI 대표.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SKT는 16일 오픈AI의 국내 통신사 유일 기업대고객(B2C) 서비스 협력사로 나선다고 밝혔다. 두 회사의 협업은 지난 10일 공표된 오픈AI의 한국 오피스 출범이 계기가 됐다.

업계에서는 SKT가 오픈AI의 선택을 받게 된 데는 SKT의 높은 기술력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본다. 두 회사는 2023년 AI 인재 발굴을 위한 '글로벌 AI 해커톤'을 공동 개최했으며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 생성형 AI 연구를 목적으로 발족한 'MIT 젠AI 임팩트 컨소시엄' 멤버로서 생성형 AI 연구를 함께 해왔다. 이 과정에서 신뢰가 충분히 쌓였고 해당 협력을 맺게 된 것이라는 해석이다.

AI 기술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가져오겠다던 SKT의 목표와도 부합하는 행보다. SKT는 유영상 사장이 취임한 2021년부터 AI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유 사장은 취임 직후부터 글로벌 AI 기업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단행하며 협력 파트너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2023년 앤스로픽에 1억달러를 투자했고, 지난해에는 투자 기업을 네 곳으로 늘렸다. 이때 SKT는 람다에 2000만달러, 퍼플렉시티에 1000만달러, 펭귄솔루션스에 2억달러를 투자했다.

SKT 유영상 대표가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SKT 유영상 대표가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2023년에는 다수 국내 AI 기업들과 연합을 맺고 K-AI 얼라이언스를 발족해 국가대표급 AI 연합체를 꾸렸다. 이 연합체는 최초 7개 회사로 출범해 2년 만에 37개 회원사를 보유한 조직으로 성장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돈 버는 인공지능(AI)'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간 쌓아 온 인프라와 기술력, 서비스를 바탕으로 AI 컴퍼니 도약에 나선다는 목표다.

이재신 SKT AI성장전략본부장은 "글로벌 AI 리더인 오픈AI와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마케팅 시너지를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며 "글로벌 협력과 자강을 투 트랙으로 강화해 고객 중심 AI 생태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앤디 브라운(Andy Brown) 오픈AI 아시아태평양 지역 비즈니스 총괄은 "오픈AI는 AI가 한국 사회 전반에 더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번 SKT와의 공동 마케팅으로 더 많은 분들이 챗GPT에 보다 쉽게 접근해 일상 속에서 AI의 가치를 경험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SKT는 오픈AI와 B2C 협력을 맞아 '챗GPT 플러스'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신규 및 3개월 이상 미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챗GPT 플러스' 1개월 구독 시 2개월을 무료로 제공한다. SKT 고객은 오는 19일부터 내년 2월까지 'T우주'에서 쿠폰을 발급받아 혜택을 적용할 수 있다. SKT는 오픈AI와 앞으로도 B2C, B2B 분야를 비롯해 SK 그룹 차원의 협력 확장 역시 다방면으로 모색할 예정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