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6일 일요일

  • 서울 30℃

  • 인천 30℃

  • 백령 24℃

  • 춘천 29℃

  • 강릉 31℃

  • 청주 30℃

  • 수원 29℃

  • 안동 30℃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30℃

  • 전주 30℃

  • 광주 30℃

  • 목포 29℃

  • 여수 30℃

  • 대구 33℃

  • 울산 32℃

  • 창원 31℃

  • 부산 30℃

  • 제주 27℃

금융 DGB금융, 2분기 당기순이익 382억원···전년比 73%↓

금융 금융일반

DGB금융, 2분기 당기순이익 382억원···전년比 73%↓

등록 2024.07.29 16:22

이지숙

  기자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유

사진=DGB금융 제공사진=DGB금융 제공

DGB금융그룹은 29일 실적발표를 통해 2분기 지배주주지분 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한 382억49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500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상반기 대비 51.6% 줄었다.

주요 계열사들의 충당전영업이익은 지속해서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으나 증권사 PF 익스포져에 대한 대손충당금 전입액 증가로 실적이 큰 폭 감소했다.

주력 계열사인 iM뱅크의 상반기(누적) 당기순이익은 2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감소했다. 여신거래처의 전반적인 상환능력 저하에 따른 요주의 여신 증가 및 부실여신 상각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이자이익 등 핵심이익은 견조한 원화대출 성장으로 호조세를 이어갔다.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상반기 81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며 iM캐피탈도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2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최근 부동산 PF 사업장 평가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관련 대손비용을 2분기에 상당 폭 인식하면서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DGB금융지주는 실적 감소에 대해 최근 높아진 채무상환부담과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은행, 증권 등 주요 계열사 대손충당금이 일제히 증가했으나 부동산 PF 리스크가 정점을 통과했고 하반기 대손비용이 빠르게 안정화될 경우 실적 회복 탄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 내수부진으로 전반적인 연체율 상승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남은 하반기에는 취약 부분에 대한 신용리스크 관리에 더욱 역량을 집중해 전 계열사 자산건전성을 안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