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7일 월요일

  • 서울 25℃

  • 인천 23℃

  • 백령 23℃

  • 춘천 26℃

  • 강릉 26℃

  • 청주 26℃

  • 수원 24℃

  • 안동 25℃

  • 울릉도 22℃

  • 독도 22℃

  • 대전 26℃

  • 전주 25℃

  • 광주 24℃

  • 목포 23℃

  • 여수 23℃

  • 대구 26℃

  • 울산 23℃

  • 창원 24℃

  • 부산 23℃

  • 제주 19℃

증권 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지원 역점···공매도 시스템 개발 최소 10개월"

증권 증권일반

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지원 역점···공매도 시스템 개발 최소 10개월"

등록 2024.05.26 12:00

유선희

  기자

밸류업 가이드라인 발표하며 '취임 100일' 간담회올해 한국거래소 밸류업 지원에 역점 두고 운영공매도는 원론적 답변···시스템 개발 최소 10개월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올해 기업 밸류업 지원을 역점으로 삼아 거래소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공매도와 관련해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자기 역할을 해나가며 최종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핵심전략'을 발표하며 취임 100일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정 이사장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기업 밸류업 지원 ▲공정한 자산운용 기회 확대 ▲자본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자본시장 마케팅 소통 강화 등 4대 핵심전략 및 12개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정 이사장은 이 중 기업 밸류업 지원을 가장 역점에 두고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지난 100일 동안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필요성을 절감한 시간이었다"며 "지금이라도 기업 밸류업 정책에 속도를 올리고 자본시장을 레벨업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기업 밸류업에 대해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각에선 기업의 자율적인 공시에 기대야 하는 만큼 실효성이 나타나기 어려운 정책이란 지적도 나온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자율적인 공시를 유도했지만 지난해 말까지 상장사의 26% 정도만 참여했다.

정 이사장은 "규제에 입각하지 않은 자율성과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에 입각해 긴 호흡으로 밸류업을 진행하자는 입장"이라며 "진행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는 시장 압력(마켓 프레셔), 동종업계 압력(피어 프레셔)를 통해 자본시장 문화로 정착하는 게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게 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밸류업 공시 중 목표 수치를 제시하는 점에서 기업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에 대해선 거래소 공시 규정에도 면책 규정이 마련돼 있는 만큼 '책임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예측 정보가 실현되지 않았다고 회사의 귀책이 될 수 없다"며 "예측정보가 실현되지 않은 걸 귀책 사유로 삼지 않을 것이며, 지금까지 귀책으로 삼은 선례도 없다"고 설명했다.

밸류업 안착을 위해 한국거래소 자체 인센티브 방안 중 하나로 감사인 지정 유예를 검토하고 있다. 정 이사장은 "밸류업 추진 위해서는 기업 최상위 의사결정기관인 이사회의 결정과 이해가 선행돼야 할 텐데, 이 과정에서 세제 혜택에 더해 거래소 나름대로 인센티브를 준비하고 있다"며 "밸류업을 성실히 추진하면 감사인 지정을 유예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가이드라인 발표에 앞서 정 이사장은 지난 14~16일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에서 'K-밸류업 글로벌 로드쇼'를 열어 글로벌 투자자에게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홍보하기도 했다. 정 이사장은 로드쇼 현지 투자자들 반응에 대해 "중국에 투입된 투자 자금의 재투자처를 찾는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증시에 관심을 갖게되는 동기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이사장은 "정부의 세제혜택, 거래소 자체 지원 등 밸류업을 유도하는 정책적 내용들이 일본과 비교해 어느 정도 차별성 있다고 평가하는 것 같다"며 "밸류업이 잘 추진된다면 외국인 투자자들도 좀 더 정확한 정보,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과정을 믿고 투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거라는 것이 우리가 받은 평가"라고 설명했다.

기업 밸류업이 해외 투자자들에게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IR(투자자 설명회)이 다른 지역에서도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정 이사장은 "홍콩과 싱가폴에서도 한국 밸류업에 대한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 필요하다는 수요가 있었다"며 "그런 수요를 고려해 추가 IR 실시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본시장 건전화를 위해 시장 진입과 퇴출의 선순환 체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코스피 상장된 기업들이 2600개 정도인데, 다른 선진국에 견줘 많은 숫자"라며 "좀비기업들이 상장을 유지하고 있으면 투자 자금이 묶여있게 되는데, 원칙에 따른 퇴출이 이뤄져야 건전한 기업들의 밸류업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이사장은 "퇴출 제도 개선을 위한 검토를 시작했다"며 "의견 수렴하고 당국과의 협의 과정을 거쳐 원칙에 맞게 퇴출할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자본시장 레벨업』을 위한 한국거래소 핵심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다만 정 이사장은 공매도에 대해선 다소 원론적인 답변을 내놓으며 말을 아꼈다. 그는 "법령 개정을 맡은 금융위원회, 공매도에 대한 감독과 제재를 할 수 있는 금융감독원, 탐지하는 거래소가 자기 역할을 해나가며 최종 정책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거래소가 개발 중인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은 최소 10개월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정 이사장은 "공매도와 관련해서 거래소는 중앙점검시스템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며 "개발 기간은 1년, 많이 단축하면 10개월 정도로, 개발 기간을 단축하려 노력하겠지만 안정적인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