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9일 월요일

  • 서울 17℃

  • 인천 19℃

  • 백령 15℃

  • 춘천 15℃

  • 강릉 11℃

  • 청주 18℃

  • 수원 18℃

  • 안동 14℃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8℃

  • 전주 18℃

  • 광주 16℃

  • 목포 16℃

  • 여수 15℃

  • 대구 14℃

  • 울산 15℃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8℃

“2021년 농업생산액 1.9% 증가한 52조 5,030억 원”

“2021년 농업생산액 1.9% 증가한 52조 5,030억 원”

등록 2021.01.21 07:07

강기운

  기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1’에서 발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경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경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월 20일(수) 오전 10시부터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농업전망 2021’대회를 개최헸다.

이번 대회는 온라인으로 진행, 농업전망 2021 홈페이지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중계됐다.

‘농업전망 2021’주요 전망 내용을 요약한다.

2021년 농업생산액 전년 대비 1.9% 증가한 52조 5,030억 원 전망됐다.
2020년 농업생산액(추정)은 전년 대비 3.7% 증가(51조 5,000억 원)했다.
작황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3.7% 증가했다.

2021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31조 7,060억 전망했다.
식량작물은 20년산 쌀 가격 상승과 콩, 감자 생산액 증가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고, 과실은 20년산 가격 상승과 21년산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채소는 전년도 생산액 증가의 기저효과로 3.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0조 7,970억 원 전망됐다.
종계 감소로 인한 닭 가격 상승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오리·계란 가격 상승이 축산업 생산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육우 3.6%, 돼지 0.8% 감소하나 닭 12.4%, 오리 6.4%, 계란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농가소득은 농외소득·비경상소득 회복으로 1.5% 증가 전망된다.
2020년 농가소득(추정)은 농업소득과 이전소득의 큰 폭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4.7% 증가한 4,310만원으로 추정된다.

2021년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20년 코로나19 영향에서 회복해 전년 대비 각각 7.1%, 6.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농업소득은 농업경영비의 큰 폭 증가(5.6%)로 전년 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1년 농업교역조건은 전년 대비 소폭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영농광열비 상승과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비 인상으로 농업구입가격은 전년 대비 2.0% 상승 전망된다.
가축구입비는 3.1% 하락하나, 영농광열비 5.5%, 사료비 3.5%, 노임 2.2%, 임차료 3.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1년 농가판매가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곡물은 7.6% 상승하나, 청과물 3.9%, 축산물 3.0%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감소하나,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가인구는 전년 대비 1.8% 감소한 216.2만 명, 농가호수 1.0% 감소한 98.5만 호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전년 대비 1.2%p 증가한 49.2%로 고령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농림어업취업자수는 증가세 이어져 전년 대비 2.5% 증가한 148만 명으로 전망된다.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림어업취업자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0.8%, 0.4% 감소해 156만 ha, 162만 ha로 전망된다.
경지이용률은 0.5%p 상승한 107.3%로 전망된다.

2021년 가축 사육마릿수는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돼지·닭·오리의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2.5% 감소한 188백만 마리로 전망된다.

식품소비행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육류‧수입과일 소비는 증가, 곡물‧채소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의 식생활 변화 등으로 중장기 수입과일과 육류 소비는 연평균 각각 1.7%, 1.0% 증가하는 반면, 곡물과 채소는 각각 0.8%, 0.5% 감소가 전망된다.

주요 품목별 전망을 살펴보면, 곡물의 경우 다음과 같다.
2020년산 쌀 단경기 가격은 전년 대비 상승하나, 수확기 대비 안정세가 전망된다.
2020년산 단경기 쌀 가격은 5만 2,500원~5만 3,800원/20kg 내외로 전망된다. 2020년산 생산량 감소로 벼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가격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가격 상승 기대 영향으로 농가재고량이 전년보다 많고 정부가 산물벼 인도 및 공매 등의 형태로 부족한 물량을 단계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므로 이를 통해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수확기에 급상승했던 쌀 가격은 점차 안정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2021년 벼 재배의향면적이 72만 8천ha로 전년 대비 0.3% 증가됐다.
벼 가격 상승,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종료 등의 영향으로 타작물로 전환했던 농가 중 일부가 벼로 회귀할 것으로 조사되고 예상됨에 따라 금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에 참여했던 농가 중 21%는 타작물 면적 일부 또는 전부에 벼를 재배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콩의 경우, 2020년산 단경기(8~10월) 콩 가격은 생산량 감소 등으로 수확기 대비 상승할 전망이다.
콩 생산량이 작황 악화로 전년 대비 23.2% 감소하여 수매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시장공급물량이 전년 대비 17% 이상 감소할 전망이다.
코로나19로 가정 내 소비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코로나19 영향이 금년에도 상당 기간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콩 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
2021년 콩 재배의향면적은 전년 수준인 5만 5천ha 내외이나 논콩은 전년 대비 14.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콩 가격 상승으로 밭콩 재배의향면적은 4.0% 증가하나,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종료 및 쌀 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 논콩 재배의향면적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감자의 경우, 2021년 상반기 감자가격은 저장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상승할 전망이다.
코로나19 영향이 상반기에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주요 수요처인 학교급식과 외식업체 수요 감소 영향 등으로 가격 상승폭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감자 재배면적은 시설 봄감자가 전년 대비 2.4% 감소가 전망되고, 노지 봄감자는 재배의향면적이 1.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시설 봄감자는 경합작물(당근 등)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 봄감자는 지난해 주출하기 상품 가격은 강세였으나, 상품성 있는 굵은 감자 비율(상서율)이 낮아 농가 조수입이 감소한 영향 등으로 재배의향면적이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축산의 경우, 한우는 2020년 12월말 기준 한우 사육구조(이력정보) 분석 결과, 2021년에 도축이 가능한 개체(17개월 이상)의 경우 암소는 149만 마리로 전년 대비 4.8% 증가하였으며, 수소는 55만 마리로 전년 대비 6.0% 많은 상황이다.
아울러, 10개월 이내에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임암소(15개월 이상)는 155만 마리로 전년 대비 8.8% 증가하였으며, 송아지는 35만 마리(암: 17, 수: 18)로 전년 대비 8.0%, 육성우는 74만 마리(암: 33, 수: 41)로 전년 대비 5.8% 많은 상황이다.
이에 2021년 도축마릿수는 전년보다 약 11% 증가한 84만 마리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2021년 도매가격은 공급(도축)증가 영향으로 전년 대비 약 7.9% 하락한 1만 8천 원/kg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총 사육마릿수는 10개월 이내에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임암소수(15개월 이상), 송아지(1~6개월) 및 육성우(암:7~14개월, 수:7~16) 수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약 2.5% 상승한 328만 마리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도매가격 상승에 따른 사육의향 증가로 인해 사육과 도축마릿수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안정적인 한우수급 상황 유지를 위해 농가의 선제적인 암소감축 및 송아지 생산·입식 조절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돼지의 경우, 2020년 11월 말 기준 돼지 사육 구조(이력 정보) 분석 결과, 2021년 5월까지 출하 가능한 자돈·육성돈·비육돈 사육 마릿수는 1,055만 마리로 전년(1,085만)보다 2.7% 적으나, 평년(1,053만)보다는 0.2% 많은 상황이다.
2021년 도축 마릿수는 2020년 대비 사육 및 모돈 감소 등으로 2020년 대비 4% 감소한 1,761만 마리로 전망되나, 비육돈 생산성 향상 등으로 평년 대비 2% 증가하여 수급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도축마릿수는 880만마리(전년 대비 3.8%↓, 평년 대비 3.4%↑), 하반기 도축마릿수는 881만마리(전년 대비 3.9%↓, 평년 대비 0.7%↑)로 예상된다.
2021년 돼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0.7% 상승한 4,219원/kg 전망되나, 평년 대비 도축 마릿수가 많아 2.1% 하락이 전망된다.
’21.1~9월까지는 돼지 도축마릿수가 평년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평년 대비 소폭 낮은 수준을 보이다가, 10월 이후 도축마릿수가 줄어들면서 가격은 평년 대비 소폭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사육 마릿수는 2020년 생산자 자율의 모돈 감축 영향으로 2020년(1,119만 마리) 보다 0.4% 감소한 1,115만 마리로 전망된다.

젖소의 경우 2021년 원유 생산량은 2020년 대비 1.1% 감소한 206만 5천 톤이 전망된다.
집유주체별 기준 원유량 및 초과원유가격 조정으로 사육 마릿수가 감소하고 마리당 산유량이 줄어 2020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산란계의 경우, 2021년 사육 마릿수는 HPAI로 인한 매몰 처분과 종계 사육 및 실용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4% 감소(평년 대비 1% 감소)한 7,009만 마리로 전망된다.
2021년 상반기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HPAI로 인한 매몰 처분과 계란 생산에 가담하는 2020년 하반기 실용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5.9% 감소(평년 대비 0.3% 감소)한 6,954만 마리로 전망된다.
2021년 하반기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2020년 하반기 종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2.2% 감소(평년 대비 1.5% 감소)한 7,064만 마리로 예상된다.
산란계 생산성 향상으로 2021년 계란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 감소폭보다 적은 전년 대비 2.0% 감소(평년 대비 1.0% 감소)한 일일 4,486만개(총 64만 9천 톤)로 전망된다.
2021년 계란 산지가격은 계란 생산량 감소로 2020년 대비 4.1%, 평년 대비 7.2% 상승한 1,145원(특란 10개)으로 전망된다.

육계의 경우, 2021년 도계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020년 하반기 종계 입식 마릿수는 전년 대비 8.0%, 평년 대비 0.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도계 마릿수는 10억 5천 만 마리로 HPAI 발생과 2020년 대비 종계 입식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2.0% 감소하나, 종계 생산성 향상 등으로 평년 대비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반기 도계 마릿수는 5억 468만 마리(전년 대비 4.0%↓, 평년 대비 2.0%↑), 하반기 도계 마릿수는 5억 4,232만 마리(전년 대비 0.3%↓, 평년 대비 3.9%↑)로 전망된다.
2021년 생계유통가격은 도계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14.3% 상승한 1,279원/kg 전망되나, 평년 대비 도계 마릿수가 많아 2.3% 하락될 전망이다.
상반기는 도계 마릿수 감소 및 HPAI 영향으로 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하반기부터 생산량이 회복됨에 따라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리의 경우, 2021년 도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020년 하반기 종오리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5.3%, 평년 대비 5.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도압 마릿수는 HPAI 발생과 2020년 대비 종오리 사육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8% 감소(평년 대비 10% 감소)한 6,262만 마리로 전망된다.
상반기 도압 마릿수는 2,897만 마리(전년 대비 12.8%↓, 평년 대비 6.9%↓), 하반기 도압 마릿수는 3,365만 마리(전년 대비 0.3%↓, 평년 대비 4.6%↓)로 예상된다.
2021년 오리 산지가격은 도압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13.2%, 평년 대비 9.5% 상승한 6,345원/생체3.5kg으로 전망된다.
상반기는 도압 마릿수 감소 및 HPAI 영향으로 가격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7월 이후 도압 마릿수 회복에 따라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소의 경우, 엽근채소는 2021년 1분기 주 출하되는 2020년산 겨울 작형 생산량 재배면적 확대로 전·평년 대비 증가, 1월 한파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월동무는 감소가 전망된다.
겨울배추는 생산량이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0%, 0.5% 증가한 29만 2천 톤, 1분기 가격은 전년(8,730원/10kg) 및 평년(7,720원) 대비 낮을 전망이다.
월동무는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2%, 0.7% 감소한 33만 1천 톤, 1월 가격은 가뭄·한파 등으로 초기 출하가 원활하지 못해 평년(13,020원/20kg)대비 높겠으나, 2∼3월은 평년(12,800원) 대비 하락이 전망된다.
겨울당근은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7.4%, 9.0% 증가한 5만 4천 톤, 1분기 가격은 전년(38,190원/20kg) 및 평년(25,040원) 대비 낮을 전망이다.
겨울양배추는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1.3%, 14.6% 증가한 16만 7천 톤, 1월 가격은 평년(7,450원/8kg) 대비 높겠으나, 2∼3월은 평년(7,240원) 대비 하락될 전망이다.
2021년 엽근채소(배추·무·당근·양배추) 재배면적은 전년 출하기 가격 약세 영향으로 2020년 대비 6.5% 감소한 57,485ha로 예상된다.
2020년 여름철 긴 장마 영향으로 출하기 가격이 높았던 고랭지 작형 재배면적은 증가하겠으나, 봄·가을·겨울 작형은 감소가 예측된다.

마늘, 양파는 마늘 수급동향 및 전망은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로 전년 대비 16%, 평년 대비 8% 적은 30만 톤으로 전망된다.
저장량이 전년보다 적어 남도종 수확기(5월) 이전까지 가격은 전년 대비 높을 전망이다.
양파 수급동향 및 전망은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증가하나 단수 감소로 전년 대비 7%(조생종 전년 수준, 중만생종 8%↓) 적은 125만 톤이 전망된다.
조생종양파 생산량이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단경기(3월 중하순)까지 적정 수준 재고량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일의 경우, 주요 6대 과일 재배면적 감소세이나, 국내 육성 신품종 및 기타과일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6대 과일 재배면적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0.9% 감소, 기타과일은 동기간 1.6% 증가했다.

포도는 폐원과 작목전환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였으나, 샤인머스켓 정착으로 2020년 증가로 전환됐다.
포도 신품종인 샤인머스켓의 정착과 더불어 단일 품종 비중이 높은 사과(후지), 배(신고), 단감(부유) 등에서 기타 품종 재배가 증가하여 품종 다양화 추세가 진전되고 있다.
2021년 6대 과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178만 톤으로 전망된다.
2020년 과일 생산량은 개화기 이상 저온, 여름철 장마 및 세 차례의 태풍, 화상병 등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하나, 평년 수준의 작황 회복 시 2021년 과일 생산량 증가가 전망된다.

과채의 경우, 2020년 7대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4만 5,052ha이다. 이는 노동력 부족과 농가 고령화로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품목별로는 딸기 12% 감소, 나머지 과채류는 1~5% 감소했다.
2020년 7대 과채류 생산량은 여름철 장마와 집중호우로 전년 대비 8% 감소한 194만 톤 추정된다. 여름작형 수확시기에 기상악화로 호박, 풋고추, 토마토, 수박 단수 감소했다.
특히, 호박(-10%), 수박(-8%), 토마토(-5%), 풋고추(-4%)의 생산량 감소폭이 컸다.

2021년 7대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도 출하기 가격 강세 영향으로 정식의향이 늘어 전년 대비 2% 증가한 4만 6천 ha로 전망된다.
품목별 재배면적 전년 대비 증감률은 딸기 8%, 오이 3%, 호박·토마토·풋고추 2%, 수박 1%, 참외–1% 등이다.
2021년 7대 과채 생산량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202만 톤으로 전망된다.
오이를 제외한 과채류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 대비 5% 증가가 전망된다. 품목별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감률은 딸기 11%, 호박 8%, 풋고추·수박 5%, 토마토 2%, 참외 1% 등이다.

국제곡물의 경우, 2020/21년 세계 주요 곡물 수급 전년 대비 악화, 선물가격 상승이 전망된다.
2020/21년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모든 품목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나 옥수수와 콩 기말재고율은 하락이 전망된다.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7%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1.4%p 상승한 42.3%로 예측되며, 가격은 15.1% 상승한 톤당 233달러가 전망된다.
옥수수는 남미의 작황 우려에도 미국의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2.7%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2.0%p 하락한 25.3%로 예측되며, 가격은 25.6% 상승한 톤당 180달러로 전망된다.
콩 생산량은 전년 대비 7.2%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4.7%p 하락한 24.1%로 예측되며, 가격은 32.7% 상승한 톤당 464달러로 전망된다.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전년과 비슷한 32.2%로 예측되며, 가격은 7.3% 하락한 톤당 273달러로 전망된다.

2021/22년 세계 주요 곡물 수급은 2020/21년 대비 악화될 전망이다.
2021/22년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2020/21년 대비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모든 품목에서 하락, 세계 곡물 가격은 예년 수준 회복으로 하락될 전망이다.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1%p 하락한 42.2%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2.1% 하락한 톤당 228달러로 전망된다.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5%p 하락한 24.8%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4.3% 하락한 톤당 172달러로 전망된다.
콩 생산량은 전년 대비 3.6%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1.4%p 하락한 22.6%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8.4% 하락한 톤당 425달러로 전망된다.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9%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4%p 하락한 31.7%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2.0% 상승한 톤당 278달러로 전망된다.

뉴스웨이 강기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