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3월 25일 토요일

  • 서울 10℃ 날씨

  • 인천 8℃ 날씨

  • 백령 6℃ 날씨

  • 춘천 12℃ 날씨

  • 강릉 7℃ 날씨

  • 청주 11℃ 날씨

  • 수원 9℃ 날씨

  • 안동 8℃ 날씨

  • 울릉/독도 8℃ 날씨

  • 대전 10℃ 날씨

  • 전주 9℃ 날씨

  • 광주 10℃ 날씨

  • 목포 8℃ 날씨

  • 여수 11℃ 날씨

  • 대구 10℃ 날씨

  • 울산 9℃ 날씨

  • 창원 11℃ 날씨

  • 부산 10℃ 날씨

  • 제주 11℃ 날씨

뉴스웨이 로고

안유수 - 침대를 정의하다

[창업자로부터 온 편지]안유수 - 침대를 정의하다

등록 2019.03.14 15:42

수정 2019.03.14 17:48

이성인

  기자

편집자주
‘창업자로부터 온 편지’는 한국 경제계의 거목으로 불리는 대기업 창업자들부터 미래를 짊어진 스타트업 CEO까지를 고루 조망합니다. 이들의 삶과 철학이 현직 기업인은 물론 창업을 준비하는 젊은 세대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침대는 가구가 아니라 과학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다들 알 법한, 광고史에서 가장 유명한 카피 중 하나일 텐데요. 침대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구축에 큰 일조를 했을 이 문구는 그저 잘 팔기 위해서 내놓은 말만은 아닙니다.

에이스침대의 창업회장인 안유수 회장의 삶을 따라가다 보면, 침대에 대한 그의 태도와 철학이 바로 이 카피와 닮았다고 느껴지는데요.

에이스침대는 지난해 기준 19년 연속으로 업계 브랜드 파워 1위를 차지한 대표적인 침대기업으로, 세계 곳곳에 공장을 세워놓은 글로벌 침대제조사이기도 합니다.

물론 시작은 미약했습니다. 안 회장은 1930년 황해도 사리원 출생으로 1‧4후퇴 때 피난 왔다가 영영 부모와 헤어지고만 실향민. 기껏해야 일주일일 줄 알았던 이별이 평생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하는데요.

갈 곳 없었던 그는 미군 내 잡역부가 됐고 자연스레 미군이 건넨 야전침대에서 밤을 보내게 됩니다. 유난히 추웠던 1951년 겨울, 안 회장은 홑겹의 야전침대 위에서 벌벌 떨면서 한 가지 결심을 합니다.

‘따뜻한 매트리스를 깔고 잘 수 있는 침대를 만들 것.’

전쟁 후 채소 행상으로 공부를 이어나간 안 회장, 대학을 마치고는 방송 기자재 납품 일을 합니다. 그러다 종로의 한 가구점에서 다시 ‘침대’란 걸 봤지요. 잊었던 꿈이 떠오른 순간이었다고 안 회장은 회고합니다.

그렇게 침대사업의 꿈을 이어나갔고 1963년 마침내 회사를 세웠습니다. 처음엔 지금과 많이 달랐지요. 서울 금호동에 천막을 짓고, 혼자 스프링을 감고, 나무를 깎았습니다. 주문 하나가 들어오면 온 정성을 쏟았지요.

조악한 업체들이 생겼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던 시절에 품질로 승부를 건 것. 그에게 침대는 일생의 1/3을 보내는 곳, 즉 고객의 건강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가구 그 이상의 무엇이어야 했습니다.

그렇게 안 회장은, 보이지 않는 부분이 더 중요한 침대의 특성상 본인이 구할 수 있는 최고급의 스프링과 충전물로 내부를 채웠습니다. 인체공학적 설계를 끊임없이 연구했음은 물론입니다.

‘최고가 아니면 만들지 않겠다.’

그 결과 에이스침대는 침대 문화가 없었던 1977년에 이미 침대 품질 검사 시설을 갖추게 됩니다. 1987년엔 품질관리 1등급 업체로 지정됐고 KS마크 인증을 획득했지요. 모든 게 업계 최초였습니다.

1991년엔 역시 업계 최초로 JIS마크를 획득했습니다. 3년 후엔 세계 최초로 ISO 9001 인증까지 받습니다. 전 세계 곳곳에 기술을 수출해왔음은 당연.

그렇게 침대는 그에게, 가구가 아닌 과학이었습니다.

마치 ‘도장 깨기’ 같은 품질 업그레이드는 세기를 넘어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업계에선 ‘상인’(商人)이 아닌 ‘장인’(匠人)에 가까온 안 회장만의 침대 철학이 그 원천이었다고 말합니다.

‘장인정신을 근본으로 하여 최고의 진선미를 제품에 구현···’

안 회장은 2002년 대표이사 직함을 장남인 안성호 당시 부사장에게 넘기며 공식적으로는 일선에서 물러났습니다. 하지만 더 많은 이에게 최고의 침대를 선사해주고픈 마음은 여전해 보이는데요.

“남북한 사람들은 물론 세계인이 우리 침대에서 잠들게 하는 게 우리 목표.”

실향민으로서 그 누구보다 외롭고 추웠을 그에게, ‘포근함의 전파’는 어쩌면 ‘숙명’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