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정관변경으로 약 7500억원 지원 길 열려 자금 지원에도 개미들 주가 하락 우려 목소리 높아유상증자·CB 발행 두고 투자자 간 ‘갑론을박’
현대상선은 지난 24일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주식 및 전환사채 발행 한도를 확대하는 정관 일부 변경 안건을 승인했다. 통과된 안건에는 CB액면총액 한도를 기존 8000억원에서 2조원로 발행예정 주식 수도 유상증자를 위해 6억주에서 10억주로 늘리는 내용이 담겨있다.
현대상선의 경우 발행 한도 6억주 중 5억4000주를 모두 발행해 감자 및 출자전환으로 소진한 상태다. 이에 따라 향후 발행할 수 있는 주식 수는 6427만주, CB잔여한도는 1997억원 수준이다.
정부는 한국선박해양을 통해 현대상선 선박 10척을 매입하고 현대상선에 재임대(세일앤리스백)할 계획이다. 장부가(8500억원)보다 낮은 시가(1000억원)으로 배를 구입한 뒤 낮은 가격으로 배를 다시 빌려주고, 차액만큼 유상증자 참여나 CB 인수를 통해 지원하는 방식이다.
현대상선은 확충한 자금을 통해 국내외 터미널 인수 및 신규 선박 발주 등 몸집 불리기에 나선다. 정관 변경은 정부 지원을 위한 사전적 준비 차원이다.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도 “정관변경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사업 정상화를 위한 준비절차에도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인다. 유상증자 때 공매도 및 유통물량 증가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현대상선이 2조6000억원대 유상증자를 결정했을 때 0%대이던 공매도 잔고가 30%대 후반까지 폭증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현대상선이 신주발행 가격을 9530원으로 당시 거래 종가보다 30% 할인된 가격으로 책정한 탓이다. 30% 할인된 가격으로 신주 배정 후, 유상증자 뒤 가격이 내려간 주식을 사서 갚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로는 지분 희석이 꼽힌다. CB의 경우 자금 조달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향후 주식으로 전환되면 주식 수 증가로 주주들의 지분 희석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이에 대해 시장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와 CB발행은 정부의 지원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므로 통상적인 큰 폭의 주가 하락이나 지분희석 우려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특히 6000억원 규모 CB는 영구전환사채로 주식발행 목적이 아닌 투자금의 목적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단 “증가 발행예정 주식 수가 늘어 주주동의 없이 이사회 결의만으로 유상증자 할 수 있는 점은 주의해 지켜봐야 할 점”이라고 지적했다.
현대상선 측은 “해당 정관 변경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50% 이상 지분을 가진 채권단에서는 큰 반대가 없었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장가람 기자
ja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