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4월부터 민간택지내 ‘분양가상한제’ 사실상 폐지

4월부터 민간택지내 ‘분양가상한제’ 사실상 폐지

등록 2015.03.24 16:42

김성배

  기자

공유

다음 달부터 민간택지 내에서 ‘분양가상한제’가 탄력 적용된다.

국토교통부는 민간택지 내 '분양가상한제' 탄력 적용 등을 내용으로 '주택법'이 4월 시행됨에 따라, 그 적용 지역의 세부 지정기준 등을 정하는 '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선 민간택지 내 건설 공급되는 주택의 경우에는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주택가격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현저하게 높은 지역으로서 주택가격, 주택거래, 지역 주택시장 여건을 고려해 가격급등 우려가 있는 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지역에 한해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전 3개월간 아파트 매매가격상승률이 10% 이상인 지역과 직전 3개월간 월평균 아파트 거래량 증가율이 전년 동기대비 200% 이상인 지역, 청약경쟁률로는 직전 3개월간 연속해 아파트 공급이 있었던 지역으로 평균 청약경쟁률이 20:1을 초과한 지역은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할수 있도록 했다.

다만 이러한 기준에 해당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분양가상한제를 지정하는 것이 아닌 대전제인 '주택가격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한해 국토부장관이 주택시장 상황 등 여러 측면을 다각적으로 고려해 주택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하게 된다.

한편, 개정법률에서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수도권 민간택지에서 공급하는 주택 또는 그 주택의 입주자로 선정된 지위에 대해서도 전매행위를 제한하도록 함에 따라 현행과 동일하게 6개월간 전매행위를 제한하되, 도시형생활주택, 경제자유구역내 외자유치 관련 주택, 관광특구내 초고층건축물에 대하여는 현행처럼 전매제한을 받지 않도록 했다.

김성배 기자 ksb@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