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재벌닷컴이 자산 기준 10대 재벌그룹 소속 93개 상장사의 사업보고서 상 직원 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직원 수는 모두 62만5144명으로 1년 전보다 3.1%(1만8992명) 늘어났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자 직원 증가율이 여직원 증가율의 배에 육박한다. 남자 직원 수는 49만4214명으로 3.5%(1만6527명) 증가했으나 여직원 수는 13만930명으로 1.9%(2465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체 직원에서 여직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말 21.2%에서 지난해 말 20.9%로 0.3%포인트 낮아졌다.
10대 그룹 중 여직원이 남자 직원보다 많은 곳은 롯데그룹뿐이다. 롯데그룹(8개 계열사)은 여직원이 2만3922명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4%로 1년 전보다 1%p 높아졌다. 지난해 롯데그룹 상장 계열사의 여직원 증가율은 10.3%로 남자 직원 증가율의 6%보다 높았다.
롯데·현대중공업·GS·한화·포스코 등은 1년 전과 비교해 여직원 비중이 높아진 반면 삼성·현대차·SK·LG·한진그룹 등은 낮아졌다.
GS그룹(7개 계열사)과 한화그룹(6개 계열사) 여직원 고용 증가율도 각각 3.1%, 2.7%로 남자 직원을 웃돌아 여직원 비중이 각각 11.3%와 33%로 1년 전보다 0.3%p씩 올랐다.
여직원 비중은 현대중공업그룹과 포스코그룹이 각각 5.9%와 6.0%로 1년 전보다 각각 0.5%포인트, 0.1%포인트 높아졌다.
현대중공업그룹(3개 계열사)도 남자 직원은 3.3% 증가한 데 그쳤으나 여직원은 12.6% 늘어났다. 포스코그룹(7개 계열사)은 전체 직원 수는 2만5732명으로 1년 전보다 0.1% 감소했으나 여직원은 1532명으로 0.2% 증가했다.
반면 작년 SK그룹(17개 계열사)의 여직원 수는 1만4642명으로 3.1% 줄어들어 여직원 비중은 34%에서 33.2%로 0.8%p 하락했다.
LG그룹(11개 계열사)은 전체 직원 10만9426명에서 여직원은 2만3천528명으로 0.5% 감소해 여직원 비중이 22.3%에서 21.5%로 역시 0.8%포인트 낮아졌다. 전체 직원은 3% 늘어난 반면 여직원은 줄어든 셈이다.
한진그룹(6개 계열사)의 경우 전체 직원은 전년대비 0.1% 증가한 2만5458명을 기록했으나 여직원은 전년대비 2.2% 줄어든 7907명에 그쳤다. 이 그룹의 여직원 비중은 31.1%로 0.7%p 떨어졌다.
삼성그룹(17개 계열사)의 고용 인원도 전체 직원은 18만3013명으로 3.1% 증가했으나 여직원은 4만5147명으로 0.8% 늘어나는 데 불과해 여직원 비중이 25.3%에서 24.7%로 0.6%p 하락했다.
현대차그룹(11개 계열사)의 여직원 비중도 4.8%에서 4.7%로 0.1%p 떨어졌다. 작년에 남자직원은 12만5398명으로 4.4% 증가했으나 여직원 수는 6214명으로 증가율이 3.8%에 그쳤기 때문이다.
한편 10대 그룹 상장사의 비정규직 직원은 3만8081명으로 전체의 6.1%다. 1년 전보다 0.3%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그룹별 비정규직 직원 비율은 롯데그룹이 19.3%로 가장 높고 한화그룹(10.5%), GS그룹(9.6%), 한진그룹(8.3%), 현대차그룹(6%) 등 순으로 나타났다.
LG그룹의 비정규직 비율은 2.5%(2758명)로 10대 그룹 중에서 가장 낮고 삼성그룹에선 전체 직원의 5.0%인 9108명이 비정규직 직원으로 집계됐다.
박정은 기자 peregrino@

뉴스웨이 박정은 기자
peregrino@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