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30일 기준 누적 200만 명의 고객이 ‘착한기변’ 프로그램을 이용해 휴대폰을 구입했으며 9~10월 휴대폰 총 판매건수의 약 40%, 기기변경 고객의 약 70%가 ‘착한기변’ 고객이라고 밝혔다.
‘착한기변’ 대상 고객이 동일 단말 18개월 이상 이용자임을 고려하면 상당한 비중이다.
이 같은 성과는 SK텔레콤의 고객 해지율 감소도 견인하고 있다. 최근 SK텔레콤의 3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분기 평균 해지율이 2.25%로 지난 분기 2.27%에 이어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9월에는 1.98%로 눈에 띄게 낮아졌다.
단말기 구매 가격 할인을 위해 번호이동을 하던 고객들이 ‘착한기변’을 통해 번호이동 고객 보다 더 다양한 혜택을 받으며 휴대폰을 교체할 수 있게 되면서 불필요하게 통신사를 옮기지 않게 됐다는 증거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착한기변’을 이용한 고객들은 단말 할인뿐 아니라 데이터 리필, 외식/영화/휴대폰 분실보험 등 각종 할인혜택을 추가로 누릴 수 있으며 가입비 납부, 장기가입 혜택 상실, 멤버십포인트·결합상품 할인 소멸 등 번호이동 고객이 감수해야 하는 불이익도 받지 않는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착한기변’ 시행 후 SK텔레콤의 판매 행태도 기기변경 중심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우선 월 이동전화 총 판매건수 중 기기변경의 비중이 ‘착한기변’ 시행 전인 1월 27%에서 9월 40% 수준으로 약 1.3배 늘었다. 지난 2월 영업정지 기간을 제외하면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아울러 작년 4분기에는 동일한 단말기를 18개월 이상 이용 중인 고객이 단말기 교체 시 기기변경이 40%, 타 이통사의 번호이동 비율이 60%였지만 올 3분기에는 기기변경 고객 비율이 72%로 증가하고, 번호이동 고객은 28%로 줄었다.
SK텔레콤은 착한기변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경쟁사로부터 우량 고객들을 보호해 마케팅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동시에 번호이동 위주의 왜곡된 이통 시장 구조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또 혜택 차별화 노력의 결과 고객 만족도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이 ‘착한기변’ 이용고객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착한기변’을 다시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81.2%, 주변에 추천하겠다는 응답도 77.6%에 달해 10명 중 8명은 ‘착한기변’ 혜택에 ‘매우 만족’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우현 SK텔레콤 영업본부장은 “‘착한기변’은 올 초 선언했던 ‘최고의 고객가치 혁신’ 취지 아래 소모적인 가입자 쟁탈 경쟁에서 벗어나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함께하는 행복 동행을 실천한 모범적인 사례”라며 “최근 경쟁사들 역시 SK텔레콤이 주도해 온 기존 가입자 혜택 강화에 동참하고 있어 시장 경쟁의 패러다임이 본격적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아연 기자 csdie@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csdi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