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공기관 에너지효율 강화···냉방수요 절감 효과

공공기관 에너지효율 강화···냉방수요 절감 효과

등록 2013.06.28 09:03

안민

  기자

공유

산업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 규정

앞으로 공공기관 에너지 효율이 강화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공공기관의 에너지소비 형태를 저소비형 구조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전력 수요관리시설 설치 대상을 확대하고 LED 제품 교체 및 설치 비율 강화, 공공기관 에너지 진단 의무화 대상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하절기 최대 전력에서 20% 이상을 차지하는 냉방수요를 줄이기 위해 앞으로 1000㎡(주민센터 규모)이상의 공공 건축물은 신축·증축시 주간 최대 냉방수요의 60% 이상을 심야전력, 도시가스 등을 사용하는 냉방설비로 설치해야 한다.

또 조명부문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 기존 건축물 경우 LED제품 교체 비율을 올해 40%로 확대하고 신축 건축물 경우 30%를 LED로 설치하되 설계 단계부터 LED 조명 설치비율이 미리 반영될 수 있도록 오는 2014년 이후 설치 비율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특히 지하주차장 등 장시간(12시간 이상) 사용되는 조명에 대해서는 연도별 교체비율 내에서 우선적으로 LED 제품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한편 신축 건축물은 2014년부터 LED 제품을 100% 설치해야 한다.

이외에도 경차 및 환경 친화적 자동차의 전용 주차 공간 수를 5%에서 10%로 확대하고 에너지절감과 전력피크 관리에 효과가 있는 건설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전력저장장치(ESS)를 공공 청사에 도입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마련했다.

아울러 노후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낭비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면적 3,000㎡(소방서 규모) 이상의 업무용 시설은 5년 주기로 에너지 진단을 실시해야 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모든 공공기관은 에너지사용량 정보를 건축물 외부 혹은 홈페이지에 게시하도록 하고 각 기관별 에너지이용 합리화 이행실적을 계량화해 추진실적이 미흡한 기관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민 기자 peteram@

뉴스웨이 안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