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1일 목요일

  • 서울 13℃

  • 인천 13℃

  • 백령 12℃

  • 춘천 14℃

  • 강릉 23℃

  • 청주 17℃

  • 수원 17℃

  • 안동 23℃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19℃

  • 전주 19℃

  • 광주 18℃

  • 목포 17℃

  • 여수 20℃

  • 대구 23℃

  • 울산 22℃

  • 창원 22℃

  • 부산 20℃

  • 제주 15℃

할당관세 검색결과

[총 6건 검색]

상세검색

홍남기 "내달 중 네온·크세논·크립톤에 할당관세 0% 적용"

홍남기 "내달 중 네온·크세논·크립톤에 할당관세 0% 적용"

정부가 내달부터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희소 가스인 네온, 크세논(제논), 크립톤에 0% 할당관세를 적용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4월 중 러시아·우크라니아 수입 의존도가 높은 네온, 크세논, 크립톤에 할당관세 0%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정량의 수입품에 대해 기존 5.5% 세율이 아닌 0% 세율을 적용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옥수수 사료 대체 품목인 보리의 할당 물량

정부, 계란·LNG 등 90여개 품목 할당관세 인하·연장 검토

정부, 계란·LNG 등 90여개 품목 할당관세 인하·연장 검토

정부가 계란, 액화천연가스(LNG) 등 90여개 수입품목의 할당관세를 인하 또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20일 관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는 내년 중 90여개 품목의 할당관세를 인하하거나 연장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최근 요청했다. 기재부는 매년 이 시기에 각 부처를 대상으로 내년 1년간 적용할 할당관세 수요조사를 진행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예년 수준의 요청이 들어왔고 대부분은 현재 적용 중인 품목에 대

‘계란’에 놀란 정부···수입란 3만5000톤 무관세 수입 허용

‘계란’에 놀란 정부···수입란 3만5000톤 무관세 수입 허용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계란값이 급등하자 정부가 수입되는 신선계란의 관세를 6월까지 물지 않기로 했다. 계란액·계란가루 등 8개 품목도 무관세 수입을 허용했다. 정부는 3일 국무회의에서 계란과 계란가공품의 관세율을 0%로 낮추는 할당관세 규정을 의결해 확정했다. 할당관세는 가격안정·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일정물량에 한해 한시적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정부는 “AI로 인한 계란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할

LPG ‘할당관세’ 유지···업계 “아쉽지만 지켜볼 것”

LPG ‘할당관세’ 유지···업계 “아쉽지만 지켜볼 것”

정부가 LPG에 부과하는 할당관세를 올 연말까지 유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E1과 SK가스 등 수입 LPG 업계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 결정된 할당관세가 올 하반기까지만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해 연말부터 건의 활동을 재개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25일 기획재정부는 국무회의를 거쳐 ‘2015년도 하반기 할당관세 규정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7월1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규정안에 따라 LPG에는 올 초부터 적용된 2%의 할당관세가 그대

LPG업계, 할당관세 폐지 여부에 ‘촉각’···“이달 중 결론날 듯”

LPG업계, 할당관세 폐지 여부에 ‘촉각’···“이달 중 결론날 듯”

E1·SK가스 등 국내 수입 LPG 업계가 정부의 할당관세 폐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2일 업계에 따르면 LPG업계는 지난 4월 정부에 기존 2%로 적용되는 할당관세를 무관세로 수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기획재정부는 할당관세의 철폐 또는 연장을 놓고 검토 중에 있으며 이달 말에는 결론을 낸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LPG와 LPG 제조용 원유에 할당관세 2%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지난 2011년부터 LPG에는 무관세를 적용해왔지만 국제 LPG 가격

할당관세 운용품목 38% 감소

할당관세 운용품목 38% 감소

할당관세 운용품목수가 대폭 감소했다.기획재정부는 31일 2013년에 물가 안정 등을 목적으로 일정한 수입물량에 대해 기준세율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할당관세 운용의 품목수가 전년 110개에서 68개로38% 수준 감소했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세수지원 추정액도 2012년 1조1690억원보다 27%가 감소해 8509억원 수준으로 평가됐다.주요 품목으로는 석유류를 비롯한 공산품이 30개 품목으로 할당 관세 적용수입액의 87%를 차지했지만 옥수수, 대두박, 원당·설탕,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