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정진완 우리은행장 "금융보안 중요성 커져···전문 인재 양성에 최선"
우리은행은 금융보안원과 함께 제5회 WooriCON 모의해킹 경진대회를 개최해 대학(원)생들이 우리은행 인터넷뱅킹 및 우리WON뱅킹의 보안 취약점을 찾는 버그 바운티 방식으로 진행했다. 심사를 통해 4개 팀을 선정해 상금과 입사 우대 혜택을 제공했다. 은행은 금융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다양한 선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총 21건 검색]
상세검색
은행
정진완 우리은행장 "금융보안 중요성 커져···전문 인재 양성에 최선"
우리은행은 금융보안원과 함께 제5회 WooriCON 모의해킹 경진대회를 개최해 대학(원)생들이 우리은행 인터넷뱅킹 및 우리WON뱅킹의 보안 취약점을 찾는 버그 바운티 방식으로 진행했다. 심사를 통해 4개 팀을 선정해 상금과 입사 우대 혜택을 제공했다. 은행은 금융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다양한 선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카드
'해킹사고 무관용 원칙' 강조한 이찬진 금감원장···여전업계 긴장 '최고조'(종합)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롯데카드 해킹 사건을 계기로 여전업계에 사이버 보안 무관용 원칙 준수를 촉구했다. 최고경영진의 직접 개입과 보안 인프라 점검을 강조하며, 금융소비자 정보 보호와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했다. 업계는 해킹 사고 재발 방지와 소비자 신뢰 확보에 총력 대응 중이다.
보험
금융권 랜섬웨어 공격 사태 지속···SGI서울보증 이어 이번엔 웰컴금융
SGI서울보증에 이어 웰컴금융그룹 계열사인 웰릭스에프엔아이대부가 해외 해커 조직의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고객 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됐다. 웰컴금융그룹은 피해 확산 여부를 점검 중이며, 핵심 계열사인 저축은행에는 피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투자전략
지정학 리스크에 방산·보안 ETF 강세···"금·비트코인도 주목"
지정학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방위산업, 사이버보안, 양자컴퓨팅, 금, 비트코인 등 관련 ETF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전략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통적 안전자산과 첨단 기술기반 자산 모두 포트폴리오 내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디지털 보안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보험
SGI서울보증 "내부정보 유출 확인된 바 없어"
SGI서울보증은 최근 랜섬웨어 해킹 공격과 관련해 일부 언론이 제기한 대용량 내부정보 유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회사는 시스템 장애 발생부터 관계기관과 협력해 사고 원인과 유출 가능성을 조사했으며, 추후 개인정보 유출 발생 시 전액 보상을 약속했다.
채널
롯데쇼핑·11번가, 정보보호 투자 축소···보안 위기감 확산
유통업계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롯데쇼핑과 11번가는 최근 2년간 정보보호 및 IT 투자액을 크게 줄였다. 반면 쿠팡, BGF리테일 등 경쟁사는 보안 예산을 대폭 늘리고 있다. 투자 축소 배경에는 공시 기준 변경과 비용 효율화 등이 있지만, 절대 투자액 감소로 소비자 불안과 신뢰 하락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데스크 칼럼
[임재덕의 it잖아]'AI 3강' 꿈꾸는 보안후진국
한국은 디지털 경제와 AI 기술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보안 투자와 대응 체계가 여전히 미흡하다. 보안을 선택적 과제로 여기고, 예산·인력·인식 모두 국제 수준에 못 미치는 현실이 해킹 위험을 키우고 있다. 나라와 기업 모두 예방적 정보보호 강화가 시급하다.
재계
"中 해커, 다른 통신사도 들여다봤나?"···美 법무부 기소장에 쏠리는 눈
SK텔레콤 해킹에 이어 한국 외교부와 LG유플러스까지 중국 해커조직 아이순의 공격 정황이 드러났다. 미국 법무부는 아이순 등 관련자 12명을 사이버 공격 혐의로 기소했고, 피해 대상엔 한국 정부기관과 통신사가 포함됐다. 다만, 기술적 증거 부재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금융일반
금감원·금보원, 금융권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사이버 보안 협력 강화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이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해 신종 사이버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정보 공유와 실시간 소통, 모의해킹 등 협력체계를 강화해 금융권 사이버 보안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에 따라 연말까지 관련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방침이다.
종목
[특징주]'SKT 해킹 사고' 여파에 보안株 급등
SK텔레콤에서 발생한 유심 해킹 사고로 인해 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자 보안주가 일제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싹, 모니터랩, 샌즈랩 등 관련주가 큰 폭으로 올랐으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유심 정보 유출이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보안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