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4일 금요일

  • 서울 26℃

  • 인천 27℃

  • 백령 27℃

  • 춘천 27℃

  • 강릉 29℃

  • 청주 29℃

  • 수원 27℃

  • 안동 31℃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29℃

  • 전주 31℃

  • 광주 31℃

  • 목포 30℃

  • 여수 30℃

  • 대구 34℃

  • 울산 34℃

  • 창원 33℃

  • 부산 32℃

  • 제주 29℃

네이버

지배구조 2023|네이버②

'소유·경영' 분리한 이해진···세대교체 카드 통할까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 책임자(GIO)는 자녀에 대한 경영권 세습 꼬리를 끊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에 이어 최근엔 핵심 경영진을 대거 교체함으로써 신(新) 리더십 체계를 확립했다. 네이버와 각 자회사에 포진된 경영진들은 네이버의 새 도약을 위한 성과 증명이란 막중한 과제를 얻게 됐다. 지분율 줄여온 이해진 GIO…자녀 경영 세습 원천 차단 이해진 GIO는 창업 초창기부터 '총수 없는 기업' 형태를 추구해왔다. 오너의 입김에 따라

'소유·경영' 분리한 이해진···세대교체 카드 통할까
'소유·경영' 분리한 이해진···세대교체 카드 통할까

지배구조 2023|네이버①

지분 3.7%에도 더 강해진 이해진의 지배력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지분율은 3%대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공정거래위원회는 2017년부터 '그룹 총수'를 뜻하는 '동일인'(同一人)으로 이 창업자를 올렸다. 이 GIO가 이사회 의장에 더해 사내이사에서조차 스스로 물러났음에도, 공정위 판단은 달라지지 않았다. 경영 참여 목적이 없다는 국민연금공단과 해외 기관 투자자를 제외하면 최다 출자자이고, 수많은 자회사와 해외 계열사를 통해 그룹 총수로 볼 정도의 강력한 지

지분 3.7%에도 더 강해진 이해진의 지배력
지분 3.7%에도 더 강해진 이해진의 지배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