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차관은 2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에서 "기업·관계부처 등과 함께 청년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과제를 발굴해 경제성장전략 등을 통해 구체화하겠다"며 "쉬었음·구직 청년에 대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내수 회복 등의 영향으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며 전체 고용률(15세 이상)은 63.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률 역시 2개월 연속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업종별로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이 부진을 이어갔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도 장기적인 하락세다. 특히 쉬었음 청년은 여전히 40만명을 상회하며 취업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재부는 청년층 고용 부진 장기화는 산업·인구구조 변화, 노동시장적 요인, 경기 요인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인구구조 변화도 부담을 키우고 있다. 은퇴 연령대에 들어선 베이비붐 세대가 노동시장에 계속 남아 있고, 인구 규모가 큰 에코세대의 구직·이직 활동이 이어지면서 청년층이 마주한 경쟁이 크게 심화된 상황이다.
이 차관은 "인공지능(AI)·초혁신 성장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청년선호 일자리를 창출하고, AI교육 또는 직업훈련을 대폭 확대해 청년들의 취업역량 향상을 뒷받침하겠다"며 "AI 분야 벤처창업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선민 기자
minibab35@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