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WA 대두로 벤처 투자 장벽 무너져실물 자산과 연계되는 금융의 진화 강조블록체인 게임 및 스테이블코인 전망 짚어
24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 2025에서 얏 시우 애니모카 브랜드 회장은 "실물자산연계 토큰(RWA)은 혁명"이라며 "전통 자본이 가치가 부여되지 않았던 것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게 된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날 얏 시우 회장은 RWA 시장의 확대와 전통 기관들의 가상자산 투자 진입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했다.
그는 "더 많은 돈이 들어오는 것은 좋다. 경쟁을 하긴 하지만 상관하지 않는다"며 "이들이 비트코인을 사고 이더리움을 사면서 자산의 가치가 오른다. 경제 자체가 성장을 하면 모두에게 좋다. 확신이 없는 이들은 크립토 윈터에 다 팔게 되면서 투자 열기는 조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AI)이 도입되면서 투자가 과거에 비해 쉬워졌다. VC 멤버들도 코딩을 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며 "기업 단위 VC의 시대가 변하는 것 같다"고 내다봤다.
또 "과거에는 은행이 예금에 대한 리스크를 졌는데 현재는 그런 리스크가 사실상 없다. VC도 마찬가지"라며 "오히려 소규모 투자 커뮤니티들이 과거 VC에 비해 더 큰 위험을 안고 투자한다. 우리도 그렇지만 오늘날 VC들은 후기 단계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런치패드에 투자하면 투자고, 토큰을 사는 것만으로도 투자가 된다. 개개인화된 투자의 혁명이 흥미롭다"며 "예전에 VC들은 자신들과 관계된 기업만 투자했다. 하지만 지금은 생태계에 투자하고 있다. 이들이 생태계에 투자하게 되면 앞으로 크립토 시장은 더 성장한다"고 했다.
향후 시장에 대해서도 비전을 밝혔다. RWA가 이제 자리잡은 만큼 더 많은 분야가 토큰을 기반으로 자산화되면서 시장이 성행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문제점을 비롯해 향후 긍정적인 미래를 풀어냈다.
시우 회장은 "현재 게임 시장의 문제는 3가지다. 우선 젊은 인구의 감소와 게임 재화 가격이 현실에서 인플레이션을 못 따라간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점유율을 뺏기고 있다"며 "결국 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 확장과 함께 게임 자체의 가치를 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방향과 견해도 내놨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달러라이제이션 방어라는 의견에 대해 그는 "각국의 스테이블코인이 있으면 통화 주권이 지켜질 수 있다"며 "결국 전 세계가 각자의 스테이블코인을 갖게 될 텐데, 이 흐름에서 뒤처지면 안 된다"고 끝맺었다.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