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T와 차별화된 투트랙 전략 추진대형 은행·기관 투자자 채택 본격화
23일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BW) 2025 임팩트' 현장 인터뷰에서 하인스 대표는 "지니어스 법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며 "USAT는 이 기준에 따라 발행되는 미국 내 첫 번째 완전 허가된 스테이블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1대1 준비금과 빅5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 등 모든 조항을 준수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미국 대형 은행과 기관투자자들의 채택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 하인스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대통령 디지털자산 자문위원회 집행이사를 역임했다. '지니어스 법안' 제정을 비롯해 미국 내 디지털자산 산업에 대한 정책 및 규제 체계 개발을 담당했다.
하인스는 테더의 사명에 대해 "전 세계 은행 이용자를 넘어 언뱅크드·언더뱅크드 인구까지 포용하는 데 있다"며 "USAT는 포용성과 동시에 기관 친화적인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USDT와의 관계에 대해 "USDT는 여전히 전 세계 5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글로벌 주력 상품이며, 수요가 줄지 않을 것"이라며 "USAT는 규제 친화적인 기관용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에서, USDT는 글로벌 시장에서 각각 성장해 나갈 것이며 상호운용성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하인스는 "백악관 근무 경력이 있지만, 민간 영역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판단에 사임했고, 테더를 통해 글로벌 투자와 생태계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고 귀띔했다.
한국 시장 전략과 관련해 그는 "USDT가 이미 대규모로 거래되고 있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며 "미국의 지니어스법과 유사한 명확한 기준이 한국에도 마련되길 권고한다"고 했다.
이어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호환 등 기술적 확장성을 고려해야 하며, 페이팔과 같이 고객 서비스 강화를 위한 민간 차원의 투자가 중요하다"며 "지니어스법이 잘 제정된 후 크립토 환경에 필요한 혁신가를 많이 모을 수 있었고, 테더사는 크립토 생태계의 선두 주자"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USAT 출시는 미국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선도할 기회가 될 것"이라며 "테더는 글로벌 시장에서 USDT와 USAT 두 축을 통해 더욱 매력적인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