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25%→15%로 하향···日·EU와 동등한 수준손실 폭 감소 및 경쟁력 유지···"최악은 면해"협상 아쉬움 속 전략적 현지화로 타격 최소화
31일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만이 아니라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미국이 한국에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진다"며 "또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이번 협상과 관련해 정부와 국회의 대응에 감사를 표했다. 이날 현대차·기아는 "대미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온 힘을 다해주신 정부 각 부처 및 국회의 헌신적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당초 북미 시장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주요 수출국이었던 만큼 관세가 유지됐을 경우 한국 경제는 물론,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 감소가 불가피했다. 지난해 한국은 미국에 총 143만대(약 48조원)의 차량을 수출했다. EU(75만8000대·약 63조원), 일본(137만대·약 56조원)과 함께 미국 내 3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꼽혔다.
관세가 기존대로 유지됐을 경우 한국의 자동차 대미(對美) 수출은 규모효과 16.3% 감소, 대체효과 4.2% 감소 등 총 20.5%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완성차 업체들이 관세 부담으로 인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게 될 경우 국내 생산은 최대 90만대가 줄어드는 등 내수 경제에 미칠 영향도 클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현대차·기아의 경우 25% 관세 부과 시 내년 영업이익이 9조1000억원이 줄어들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 25% 관세 부과가 본격화한 올 2분기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은 1조6000억원이 줄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8282억원, 7860억원 감소했다.
이마저도 미국 현지에 있는 재고 물량을 활용해 감소폭을 최소화했던 수치인 만큼, 재고 물량 없이 온전히 관세를 떠안으면 분기당 각사가 각각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가 발생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특히 미국의 25% 관세 부과 시나리오에서는 현대차·기아의 가격 경쟁력 약화가 더 큰 문제로 작용할 수 있었다. 일본이 먼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기존 2.5% 관세 포함)로 낮춘 상황에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율이 유지될 경우 현대차·기아는 일본산 자동차보다 가격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어서다. 이러한 우려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협상 막바지 직접 미국 출장길에 오르며 지원 사격에 나서기도 했다.
이번 협상 타결로 국내 완성차 업계는 실적 방어는 물론, 기존 경쟁력도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올해 연관 관세 부담은 3조688억원, 2026년에는 4조4588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으나, 15% 관세율 적용으로 올해와 내년 관세 부담은 각각 2조6218억원, 2조6753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일각에선 한국 정부가 애초 차 관세를 12.5%로 요구해왔던 만큼, 이번 결과가 다소 아쉽다는 반응도 나온다.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그간 한국은 FTA를 통해 미국 자동차 관세율이 제로였다"며 "일본은 2.5%를 적용받고 있었다. 동일하게 15%의 관세율이 적용되면 상대적으로 일본산 차의 경쟁력이 더 커지는 점은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루스벨트 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존슨(R-LA) 미 하원의장,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에게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일본과의 동일한 관세 부과로 인한 타격은 자동차 판매 가격 상승 없이 인센티브 축소를 통해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판매가격 대비 인센티브 비중은 6%(2000~2500 달러) 수준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순 할인, 캐시백, 저금리 금융 등을 조절해 매출 타격을 상쇄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시장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 인센티브와 가격 전략을 실시할 것"이라며 "시나리오별로 완성차 현지생산 확대를 면밀히 검토해 탄력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호세무뇨스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그룹 차원에서 손익 만회방안을 적극 추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관세영향을 비롯한 시장 불확실성에 대해 철저히 준비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