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 토크 콘서트 2025 개최엑사원의 눈 '엑사원 4.0 VL' 공개"글로벌 파트너사와 AI생태계 만들 것"
LG AI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었다.
이날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어, 이홍락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 겸 CSAI(최고AI과학자)는 최근 공개한 '엑사원 4.0'과 '엑사원 패스 2.0'을 시작으로 LG AI연구원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소개했다.
'엑사원 4.0'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며,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AI 모델이다.
이어 LG AI연구원은 복잡한 전문 문서부터 이미지와 분자 구조식까지 완벽하게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모델인 '엑사원 4.0 VL(Vision Language)'를 처음으로 공개했다.'엑사원 4.0 VL'은 메타(Meta)의 라마 4 스카우트(Llama 4 Scout) 모델과의 성능 비교에서 앞섰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엑사원 4.0 VL'이 엑사원의 눈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최정규 LG AI연구원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내부 검증 단계를 마친 엑사원 기반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챗엑사원'(ChatEXAONE)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EXAONE Data Foundry)', '엑사원 온프레미스(EXAONE On-Premise)'를 차례로 공개했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임직원의 AI 에이전트인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엑사원 4.0 공개 이후 모델 라이선스 범위를 교육 목적까지 확대했으며,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자유롭게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LG AI연구원은 전문 분야 특화 AI 모델을 빠르게 만들 수 있는 핵심 기술도 소개했다.
이날 공개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고품질 데이터를 생산하는 AI 공장 역할을 하는 플랫폼 기술로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한 명이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LG AI연구원이 LG 계열사와 국책 기관 등과 실증 사업을 진행한 결과 기존 대비 데이터 생산성은 최소 1000배, 데이터 품질은 평균 20% 이상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엑사원 생태계'의 마지막 순서로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완성한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소개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기업들이 보안 걱정 없이 엑사원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독립된 환경에서 기업용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풀스택(Full-Stack) 설루션이다.
LG AI연구원이 공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인 엑사원 3.0과 엑사원 3.5, 에이전틱 AI를 구현하기 위한 추론 AI 모델 엑사원 딥과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의 다운로드 수 합계는 500만 회를 넘겼다. 이는 국내 AI 기업 중 최고 기록이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의 진화는 곧 현실 세계를 바꾸는 기술인 피지컬 AI로 연결된다"며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뉴스웨이 정단비 기자
2234ju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