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 서울 25℃

  • 인천 23℃

  • 백령 22℃

  • 춘천 23℃

  • 강릉 19℃

  • 청주 21℃

  • 수원 22℃

  • 안동 20℃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2℃

  • 전주 22℃

  • 광주 21℃

  • 목포 22℃

  • 여수 22℃

  • 대구 20℃

  • 울산 22℃

  • 창원 21℃

  • 부산 22℃

  • 제주 24℃

증권 삼성전자·알테오젠 상승세에···코스피·코스닥, 나란히 강세 마감

증권 투자전략 마감시황

삼성전자·알테오젠 상승세에···코스피·코스닥, 나란히 강세 마감

등록 2024.11.25 16:21

김세연

  기자

공유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강보합 출발한 코스피와 코스닥이 외인과 기관의 '사자' 행렬에 힘입어 상승 폭을 확대, 각각 1%대, 2%대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은 9거래일 만에 700선을 목전에 두고 있다. 종목별로는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가 3%대, 코스닥 대장주 알테오젠이 13%대 급증하며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25일 코스피지수는 전 영업일 대비 22.87포인트(0.91%) 오른 2524.11에 개장해 오후 들어 상승 폭을 확대 33.10포인트(1.32%) 오른 2534.34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인과 기관의 순매수세가 강했다. 외인은 679억원, 기관은 2795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4356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상승 우위다. 삼성전자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납품 공급 시기를 신속히 검토하겠다는 발언에 전 영업일 대비 3.39% 오른 5만7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밖에 SK하이닉스는 0.17%, LG에너지솔루션은 3.58%,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57% 등 올랐다. 반면 기아와 KB금융은 0.61%, 0.41% 내렸다.

업종별로도 빨갛게 물들었다. 증권(0.49%), 보험(0.58%), 철강및금속(1.45%), 운수장비(0.92%)는 내린 반면 이 밖에 대부분의 업종은 상승세다. 전기전자는 2.80% 오르며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코스닥지수는 전 영업일 대비 6.36포인트(0.94%) 상승한 683.37에 출발해 19.82포인트(2.93%) 오른 696.83을 기록하며 700선 회복을 눈앞에 뒀다.

외인과 기관이 상승을 견인했다. 각각 863억원, 1201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개인은 2100억원어치를 팔았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알테오젠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알테오젠은 전 영업일 대비 3만9000원(13.36%) 상승한 33만1300원에 거래를 종료했다. 알테오젠의 상승세는 지난주 루머로 인한 과도한 낙폭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풀이된다. 이날 234만9838주가 거래됐다. 이 밖에 2차전지 종목 상승세도 눈에 띄었다.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는 각각 4.80%, 4.37% 올랐다. HLB와 리가켐바이오도 각각 3.18%, 3.87% 상승했다. 엔켐 역시 3.98%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휴젤과 클래시스는 각각 2.21%, 1.34% 빠졌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알테오젠 상승하며 지수 견인했고, 여러 불확실성 요인들도 해소됐다"며 "주말 사이 젠슨 황 CEO 발언에 엔비디아향 공급 기대감 유지되며 삼성전자 3%대, 알테오젠은 특허 침해 가능성을 일축에 13%대 급등하며 코스닥 상승을 견인, 2차전지 대표주들도 일제히 급등하며 지수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합의가 임박했다는 소식도 전해지며 달러, 미 국채금리 하락 안정세. 이에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증시 대체로 상승했다"며 "증권, 철강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 상승, 특히 헬스케어는 4% 가까이 급등 또한 토큰증권(STO_ 관련주 (STO 발행 법제화 법안의 여야 의원 공동 발의), 엔터, 여행 (중국무비자 입국 기간 확대, 문화장관회담에 따른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 등도 올랐다"고 덧붙였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세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