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만찬사 이후 금융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새마을금고중앙회 MG금융연구소 김진희 부연구위원은 정기학술대회에서 '금융기관별 다중채무자의 연체 결정요인'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가계대출 연체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다중채무자를 업권별로 구분하여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김 부연구위원은 금융업권 분석을 통해 상호금융의 비(非)다중채무자는 대출기관이 늘어날수록 연체확률이 낮아져 이들에게는 상호금융이 포용금융기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였다.
다중채무자는 일반채무자보다 거시경제와 금융환경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연구윈원은 "기관별로 은행에서만 빌린 차입자, 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빌린 차입자, 제2금융권에서만 빌린 차입자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은행에서만 빌린 경우에는 다중채무자와 일반인의 연체 요인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반면 은행+제2금융권에서 빌린 군과 제2금융권에서만 차입한 군의 다중채무자들은 일반차입자들보다 재무 및 거시경제 요인에 더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이날 본 연구는 연체경험이 있는 7만명 이상의 대량의 자료를 분석한 매우 유익한 연구 평가 받았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