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알뜰폰 고객 절반, 단통법 폐지되면 이통 3사로 옮길 것"

이슈플러스 일반

"알뜰폰 고객 절반, 단통법 폐지되면 이통 3사로 옮길 것"

등록 2024.03.22 14:01

김선민

  기자

공유

소비자 10명 중 6명이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에 찬성하고, 알뜰폰 가입자 거의 절반은 보조금이 많다면 이동통신 3사로 옮길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지난달 28∼29일 만 20∼64세 휴대전화 이용자 1천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정부의 단통법 폐지 방침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단통법 폐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수준은 높지 않았다. 단통법 폐지 방침에 대해 67%가 '구체적인 내용은 잘 모른다'고 답변했으며 22%는 '처음 듣는다'고 답했다. '잘 알고 있다'는 답변은 11%에 그쳤다.

단통법 폐지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자가 62%로 '잘 모르겠다'(28%)와 '반대'(9%) 비율을 압도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찬성 이유는 단말기 구입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올해 휴대전화 구매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45%는 '폐지 때까지 구입을 유보할 것'이라고 했고, 내년 이후 구매할 계획인 소비자 중 17%는 '올해 단통법이 폐지되면 구매를 올해로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단통법 폐지가 실현되면 알뜰폰 시장의 충격이 클 수 있다는 설문 결과도 나왔다.

휴대전화를 교체할 예정인 알뜰폰 이용자의 48%는 이통 3사의 단말기 보조금이 많다면 '이통사로 이동하겠다'고 답한 반면, '알뜰폰 통신사를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26%에 그쳤다.

최근 늘고 있는 자급제(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한 뒤 원하는 통신사에서 개통) 구매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휴대전화 교체 예정자의 절반 이상(51%)이 자급제를 선택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단통법이 폐지될 경우에는 자급제를 이용하겠다는 답변이 25%로 줄어들었다.

한편, 단통법 폐지에 반대한다는 9%의 응답자가 꼽은 반대 이유(복수 응답)는 ▲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비싼 요금제를 유도할 것 같아서(57%) ▲ 휴대전화 가격이 별로 저렴해지지 않을 것 같아서(43%) ▲ 통신사 요금제가 비싸질 것 같아서(37%)의 순으로 집계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