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15만대 규모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2025년 양산 목표2030년 전기차 라인업 31종 구축···"글로벌 전기차 톱3 굳힌다"전기차 차세대 플랫폼 확보하고 초고속 충전 인프라도 확대
현대차그룹은 11일 오토랜드 화성에서 정부 관계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송호성 기아 사장, 현대차‧기아와 부품사 임직원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 공장의 기공식을 개최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분야에 총 24조원을 투자해 대한민국의 글로벌 전기차 3대 강국 도약에 기여할 것"이라며 "국내 전기차 연구개발, 생산, 인프라 등 전후방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의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 공장은 현대차그룹이 1994년 현대차 아산공장 이후 29년 만에 국내에 건설되는 완성차 제조 공장이다. 약 1조원이 투입돼 약 3만평 부지에 들어서는 이 공장은 2025년 하반기 양산이 목표다. 양산 시점에 연간 15만대 생산 능력을 확보하며 향후 시장 상황에 맞춰 확장을 검토할 계획이다.
기아는 이번 신설 공장에서 고객 맞춤형 전기차를 전용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2025년에 선 보일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라인업의 최초 모델 SW(프로젝트명)는 중형급 크기로 개발된다. 스케이트보드 형태의 PBV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체를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전기차 연간 생산량을 2030년 151만대(수출 92만대)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364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전기차 톱3 자리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국내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짓고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도 전환한다. 현대차그룹에서 구축하는 전기차 생산공장 내 산업용 로봇 등은 국산 지능형 로봇으로 설치돼 설비 국산화율이 99%에 이른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및 제품 라인업 확대,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개발, 연구시설 구축 등 연구개발에도 집중 투자한다. 협력사와 함께 국내 기술 개발도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전용 플랫폼 제품 라인업 다양화, 전기차 성능의 핵심인 배터리와 모터 등 PE(Power Electric) 시스템 고도화, 1회 충전 주행거리(AER) 증대 기술 개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통합 상품성을 강화한다.
전기차의 원천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 차세대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2025년 도입하는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비롯해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체계 하에서 차급별 다양한 전용 플랫폼들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를 적용한 플랫폼은 배터리와 모터를 표준화해 제품 개발 속도와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아울러 전기차 고객의 충전 편의 극대화와 충전 네트워크의 지속 확장을 위해 초고속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지난 2021년 4월 전기차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피트(E-pit)'를 출범한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4월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E-CSP)'을 선보였다.
또한 올해 상반기 중에는 충전 인프라 품질검증센터를 설립해 안정적인 충전기 품질을 확보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충전기 고장으로 인한 고객 불편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계열사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는 도심의 부족한 초고속 충전 수요를 해소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초고속 충전기 3000기를 구축한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총 31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기아는 올해 EV9을, 현대차는 2024년 아이오닉7을 출시하는 등 본격적인 전동화 전환에 나선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국내에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한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전기차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국내 전기차 전후방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