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 27일 전체회의 "AI 기술, 모덜리티 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우리나라 AI 경쟁력 7위···AI인재 취약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김선주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인공지능학과장)를 초청해 금융산업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챗 GPT가 주도하고 있는 AI 기술의 미래와 금융산업과의 접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최현만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장을 비롯해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강행 한국투자금융지주 부회장, 김신 SK증권 대표이사, 이성재 현대해상화재보험 대표이사, 윤열현 교보생명 고문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강연을 맡은 김선주 교수는 챗GPT 열풍으로 주목받고 있는 AI기술에 대해 "앞으로 이미지, 비디오, 음성 등 다양한 모덜리티가 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현재 AI분야에서 언어기반 영상 편집 및 생성, 영상에 대한 언어설명과 같은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라며 "음성, 음악, 영상, 언어가 종합적으로 하나의 AI모델로 통합되는 기술이 실현되면 현재의 채팅기반 GPT를 뛰어넘어 일반인공지능(AGI) 시대로 넘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인공지능은 한정된 범위의 알고리즘 처리를 넘어 복수의 기능을 통합, 조정해 스스로 분석, 창조,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보다 인간에 가까운 인공지능'이다.
단 우리나라의 AI 경쟁력은 현재 7위로 미국, 중국 등에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영국 데이터 분석 미디어인 토터스인텔리전스의 글로벌AI지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싱가포르, 한국 순으로, 작년 5위에서 순위가 두 계단 하락했다.
이는 AI인재, 인프라, 연구력, 국가전략 등을 기준으로 AI 경쟁력을 평가·분석한 결과로, 선도국과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취약한 분야는 AI인재(28위)와 운영환경(3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환경은 데이터 관련 규제 및 AI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 등 제반조건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김 교수는 AI 선도국들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미국, 캐나다처럼 대표연구소를 통해 집중화된 AI 연구개발과 인재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향후 AI 기술의 금융산업 접목에 대해서는 "개인화 서비스, 고객대응 등에 AI의 활용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퀀트 업무분야에서 파생상품의 가치 평가, 금융시장 위험도 측정, 시장의 움직임 예측 등의 모델링을 통해 금융혁신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한편 최현만 금융산업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 등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금융은 미래 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술과 규제의 트렌드를 앞서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챗GPT에 '앞으로 금융사의 경쟁력 유지 방법'을 물어보니 '의사결정 효율화, 시장정보 수집과 처리, 그리고 고객 경험 개선에 신기술을 활용해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같은 실험도구들과 자본이 붙으면 그동안의 프로세스를 완전히 탈피하는 거대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산업위원회는 대한상의 산하 13개 위원회 중 하나로, 금융 이슈에 대한 업계 구심점 역할을 하고자 2007년에 출범해 올해로 17년째를 맞고 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