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부동산 침체에 일부 온투업 연체율 20%넘어···금감원 모니터링

금융 금융일반

부동산 침체에 일부 온투업 연체율 20%넘어···금감원 모니터링

등록 2023.03.19 16:01

장귀용

  기자

공유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계의 연체율이 최대 20%를 웃돌면서 금융감독원이 집중 관리에 나섰다. 연체 대부분이 부동산 담보 대출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시장 침체의 여파로 연체율도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 말 기준으로 연체율이 20%를 넘은 일부 온투업체에게 연체율 관리 계획을 보고받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온투업체의 연체율이 20%를 넘는 경우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보고받도록 규정돼 있다"며 "지난 1월 말 기준으로 보고 대상인 업체가 발생했으며 향후 관리가 계획대로 이뤄지는지 등 이행 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했다.

온투업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개인이나 법인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한 뒤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해 주고 원금과 이자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금융서비스다. 사업모델에 따라 부동산담보대출 위주로 취급하거나, 개인신용대출만을 취급하는 업체 등으로 나뉜다. 현재 금융당국에 등록된 온투업체는 총 49곳이다.

문제는 최근에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영업하던 온투업체의 연체율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업체별 홈페이지 공시에 따르면 부동산담보 대출 전문 온투업체 다온핀테크의 연체율은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28.15%에 달했다. 규모면에서 업계 2위를 기록 중인 투게더펀딩도 2월 말 기준 연체율이 17.01%까지 올랐다.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서 지난해 말 폐업한 업체도 있다. 지난해 12월 온투업체 그래프펀딩은 회사 해산과 영업 종료 사실을 공지하면서 "급변하는 세계 및 국내외 금융시장과 부동산 시장의 현황으로 영업을 종료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온투업체가 취급하는 P2P 금융상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투자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대출 차입자가 만기에 상환하지 못하면 투자 원금 전체를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

다만 금감원은 온투업체의 부동산담보 대출에 대한 개인 투자자 비중이 10%에 남짓해 금융 소비자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은 온투업 등록 취소 논의까지 간 업체는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단계인 만큼 규정상 정해진 절차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