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재현 선고 코앞···CJ의 운명은?

이재현 선고 코앞···CJ의 운명은?

등록 2015.12.13 09:31

황재용

  기자

공유

오는 15일 파기환송심 판결 앞둬결과에 따라 복귀 가능성 있어···건강 상태가 관건

사진=뉴스웨이 DB사진=뉴스웨이 DB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이 15일로 다가오면서 CJ 앞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회장은 1600억원대 조세포탈·횡령·배임 혐의로 지난 2013년 구속 기소됐으며 1심에서 징역 4년, 2심에서 징역 3년을 각각 선고받았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 회장의 배임 혐의를 문제삼았다. 이득액을 구체적으로 산정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이에 지난달 10일 서울고법 형사12부(이원형 부장판사)는 이 회장의 파기환송심 공판을 진행했다. 당시 재판에서는 배임죄 부분이 쟁점이 됐으며 검찰은 파기환송 전 재판에서의 구형량을 그대로 유지할 것을 재판부에 요청했다.

반면 이 회장 측은 대법원의 파기환송 취지를 양형 결정에 반영할 것을 주장했다. 일반 형법상 배임 혐의를 적용한 대법원의 판단이 맞다는 것이 핵심이다.

또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최후진술을 통해 “건강을 회복하고 선대 유지인 창업보국, 미완성의 CJ를 세계적 기업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재판부는 오는 15일 오후 1시 이 회장에 대한 선고를 내리겠다고 밝혔다. 특히 파기환송심 결과에 따라 이 회장의 현장 복귀가 가능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CJ에 변화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우선 현재는 연말 인사시즌이다. 그동안 CJ는 매월 10월께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하지만 이 회장이 구속된 2013년부터 인사 시기가 늦춰졌으며 최근 2년간은 임원인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복귀하면 어느 정도 세대교체가 진행될 것으로 보고있다. 그동안 성장 정체기가 이어져 임원인사를 계기로 공격적인 경영을 시작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와 함께 이 회장 복귀 여부에 따라 내년도 그룹의 사업 방향이나 투자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오너 일가 2명과 전문경영인 2명 등으로 구성된 전문경영체제가 가동돼 이 회장의 공백을 메워왔지만 오너 부재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다.

또 CJ그룹은 CJ헬로비전을 매각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2020년 그룹 매출 100조원이라는 ‘그레이트CJ’ 비전 달성을 위해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셈이다. 이를 위한 M&A 추진과 성장이 두드러진 CJ제일제당과 CJ대한통운 등 핵심 계열사들의 장기적인 성장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다만 이 회장의 건강 상태가 관건이다. 일각에서는 이 회장의 건강이 극도로 악화돼 집행유예를 받더라도 당장 경영에 복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이 회장은 지난 재판 때 입원 중인 서울대병원에서 구급차를 타고 이동했으며 링거를 단 채 휠체어를 타고 법정에 등장했다. 신장이식수술의 부작용과 근육이 서서히 위축되는 유전병인 샤르코마리투스(CMT) 때문이다.

공판에서도 시종일관 불편한 모습이었으며 고통이 있는 듯 얼굴을 자주 찡그렸다. 재판부의 질문과 마지막 변론에서도 천천히 말하는 등 건강 상태가 심각해 보였다.

이에 대해 CJ그룹 관계자는 “아직 재판 결과도 나오지 않았고 이 회장이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어 구체적인 경영 복귀를 얘기하는 것은 어렵다”고 전했다.


황재용 기자 hsoul38@

뉴스웨이 황재용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