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의결
정부가 3D프린팅 산업의 세계 선도기업 5곳 육성, 독자 기술력 확보 등을 통해 2020년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15%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이 같은 내용의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제5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 상정해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3D프린팅 산업은 디지털 디자인 데이터를 이용해 액체 분발 소재를 통해 2차원적인 소재를 층층이 쌓아가면서 3차원 물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현재 소비재·전자(22%), 자동차(19%), 메디컬·덴탈(17%) 등을 중심으로 쓰이고 있으며 시제품 작업에서 최종제품 생산까지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3D프린팅 세계 시장 규모는 2012년 22억달러에서 2021년 108억달러로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유망 핵심기술로 손꼽히고 있다.
정부는 고가 산업용 장비 및 소재를 90%이상 수입에 의존하는 등 3D프린팅 시장 규모가 미미한 초기 형성단계로 국내 산업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 3D프린팅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를 선정했다.
구체적으로 ▲수요 연계형 성장기반 조성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기술경쟁력 확보 ▲법제도 개선 등 4대 전략과 11대 추진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2020년까지 세계적 선도기업 5개, 독자 기술력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점유율 15%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우선 기존 산업현장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시범적으로 활용하고 공정개선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20억원을 투입, ‘3D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영세·중소기업 대상으로 ‘찾아가는 시제품 제작서비스’도 운영된다. 3D프린팅 장비를 탑재한 시제품 제작 차량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시제품 제작 등 3D프린팅 활용경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일반 국민들도 3D프린팅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무한상상실 및 셀프제작소 등을 통해 참여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인재육성을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3D프린팅 관련 교육기관 지원 및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기초·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초중고교 및 대학 내 실습용 국산장비를 보급할 방침이다.
비즈니스 부문에서는 민간·공공부문으로 나눠 제품·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 및 사업계획을 공모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선정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기획·사업화·마케팅 등의 창업 지원이 이뤄진다.
미래부, 중소기업청 등의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해 ‘3D프린팅 전문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의 앱스토어와 같은 ‘3D프린팅 디자인스토어’, 시스템과 연계 지원 등을 위한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운영해 콘텐츠 분야의 시장 창출과 콘텐츠 접근성 개선, 장비 인프라 활성화를 도모한다.
선진국 대비 취약한 국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 하반기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 등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하고 특히 금속세라믹 복합소재 등과 같은 소재-장비 연계형 기술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국산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보급도 확대한다.
아울러 무기류, 환경안전 관리 등 3D프린팅 산업진흥과 역기능 방지 등을 위한 법·규제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발전전략을 토대로 범부처 ‘3D프린팅 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계획이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새로운 정책과제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cr2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