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서울 24℃

인천 25℃

백령 25℃

춘천 23℃

강릉 22℃

청주 25℃

수원 24℃

안동 23℃

울릉도 24℃

독도 24℃

대전 26℃

전주 27℃

광주 26℃

목포 26℃

여수 28℃

대구 24℃

울산 23℃

창원 26℃

부산 24℃

제주 29℃

제약바이오 검색결과

[총 193건 검색]

상세검색

"성과급에 스톡옵션까지"···제약바이오 상반기 고액 보수 줄지어

제약·바이오

"성과급에 스톡옵션까지"···제약바이오 상반기 고액 보수 줄지어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계에서 보수 5억원 이상을 받은 임직원이 약 50명으로 집계됐다. 한미 임종윤 전 사장이 88억원으로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가 급여·상여금 기준 1위를 기록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임직원 평균 연봉이 전년보다 63% 급등하며 보수자 명단에 새롭게 올랐다.

존재감 커진 '국산신약'···미국서 2분기 약진

제약·바이오

존재감 커진 '국산신약'···미국서 2분기 약진

국산 신약이 미국 시장 공략에 성공하며 2024년 2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 대웅제약의 나보타, GC녹십자의 알리글로, 유한양행의 라즈클루즈 등이 각각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다. 미국 내 국산 신약의 성장세와 매출 확대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기업 60% 유동성 빨간불, 당좌비율 100% 미만 속출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 기업 60% 유동성 빨간불, 당좌비율 100% 미만 속출

국내 매출 상위 10대 제약·바이오 기업 중 6곳이 2023년 말 기준 당좌비율 100% 미만으로 단기 유동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C녹십자와 HK이노엔은 60% 이하로 더 악화됐다. 반면, 보령 등 일부 기업은 적극적인 자금 조달로 현금성 자산을 대폭 늘렸다. 최근 경기 침체와 고금리 환경 속에 제약바이오 업계는 현금흐름 및 유동성 관리 강화가 필수로 지적된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