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목
머스트운용, 리파인 보유목적 '일반투자'로 변경···적극적 주주권 행사 나서나
머스트자산운용이 리파인 주식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하며 주주권 행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리파인의 최대주주 리얼티파인은 6% 금리의 교환사채 전량을 주식으로 전환해 지분율을 48%로 확대했다. 머스트운용은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를 신청하며 적극적 주주행동을 예고했다.
[총 20건 검색]
상세검색
종목
머스트운용, 리파인 보유목적 '일반투자'로 변경···적극적 주주권 행사 나서나
머스트자산운용이 리파인 주식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하며 주주권 행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리파인의 최대주주 리얼티파인은 6% 금리의 교환사채 전량을 주식으로 전환해 지분율을 48%로 확대했다. 머스트운용은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를 신청하며 적극적 주주행동을 예고했다.
산업일반
신사업 갈림길 태광산업···법원 결정에 쏠린 눈
태광산업이 중국발 석유화학 및 섬유 산업 위기로 경영난을 겪으며 EB 발행을 통한 투자유치 및 애경산업 인수를 추진 중이나, 자사주 활용 EB 발행의 적법성을 두고 트러스톤자산운용이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법원 결과에 따라 사업 재편과 신사업 투자, 애경산업 인수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산업일반
태광산업, 가처분소송·금감원 제동에 EB 발행 중단
태광산업이 자사주 담보 교환사채(EB) 발행 절차를 잠정 중단했다. 신사업 진출을 위한 자금조달 과정에서 자사주 소각 회피와 주주 이익 침해 논란이 불거졌으며, 2대 주주 트러스톤의 가처분 신청과 금융감독원의 정정 명령이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소액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일반
[재계 IN&OUT]새 사업 하겠단 태광 이호진...발표 타이밍부터 자금 조달 논란 시끌
태광산업이 섬유·석유화학 부진 타개를 위해 화장품, 에너지, 부동산 등 신사업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투자 재원 마련을 위한 3200억원 EB 발행에는 금융당국이 제동을 걸었고, 주주가치 훼손 및 경영권 방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종목
태광산업, 사외이사 2인 반대에도 교환사채 발행 강행
태광산업이 사외이사 2인의 반대와 주주 반발에도 불구하고 자사주 전량을 기초로 한국투자증권을 대상으로 교환사채(EB) 발행을 결정했다. 트러스톤자산운용과 소액주주연대가 위법성 및 경영 투명성 문제를 제기하며 법적 대응에 나선 가운데, 업계의 이목이 EB 발행과 향후 법적 절차에 집중되고 있다.
에너지·화학
태광산업, 조단위 투자로 사업구조 재편···"생존 위한 결정"
태광산업이 섬유와 석유화학 업황 악화에 대응해 화장품, 에너지, 부동산 개발 등 다양한 신사업에 1조5000억원 규모를 투자할 예정이다. 하지만 현금성 자산이 부족해 조달 자금 마련을 위해 교환사채 발행을 추진 중이나, 금융감독원의 정정명령 등 논란이 불거진 상황이다.
증권일반
금감원, 태광산업 EB 발행에 정정명령
금융감독원이 태광산업의 교환사채 발행 신고서에 인수 대상자 등 중요한 정보 누락을 이유로 정정명령을 내렸다. 태광산업은 주주 아닌 미확정 인수자로 인해 주가가 급락했고, 트러스톤자산운용이 법원에 이사회 행위 중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상법 위반 논란으로 법적 공방이 예상된다.
증권·자산운용사
트러스톤, 태광산업 교환사채 발행 저지···가처분 소송 제기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산업이 자사주 전량을 기초로 교환사채(EB) 3,200억원을 발행하기로 한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다. 트러스톤은 이번 EB 발행이 주주가치 훼손 및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가처분 소송 등 법적 대응과 함께 금융감독원에 제소할 방침이다. 충분한 현금자산을 보유한 태광산업의 EB 발행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상법 개정 회피용 꼼수라고 주장했다.
에너지·화학
SK이노, SK엔무브 완전 자회사로 품었다···IPO 잠정 중단
SK이노베이션이 SK엔무브 지분 30%를 8592억 원에 추가 매입해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다. 자금 조달을 위해 교환사채 발행과 자기주식 처분도 시행한다. IPO는 잠정 중단했으며, 경영권 강화와 효율성 제고가 목적이다.
데스크 칼럼
[임주희의 마켓타운홀]소액주주들은 바보가 아니다
새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내 상장사들은 소액주주 권리를 무시하고 다양한 꼼수를 통해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자사주를 활용한 교환사채 발행이나 직원·재단 출연, 저가 공개매수 등으로 투자자 가치는 위협받고 있다. 소액주주 중심의 책임경영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국 증시의 고질적 저평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